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이 세계 최하위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만큼 다양한 이웃과 조화를 이루기 어렵다는 뜻이다.
한국교육개발원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2009년 국제교육협의회(IEA)가 전 세계 중학교 2학년생 14만 600여명을 설문한 ‘국제 시민의식 교육연구’(ICCS) 자료를 토대로 36개국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 지표를 계산한 결과, 한국이 0.31점(1점 만점)으로 35위에 그쳤다고 27일 밝혔다.
한국 청소년은 지역사회 단체와 학내 자치단체에서 자율적으로 활동한 실적의 비중이 높은 ‘관계 지향성’과 ‘사회적 협력’ 부문의 점수가 모두 36개국 중 최하위(0점)였다. 반면 갈등의 민주적 해결 절차와 관련한 지식을 중시한 ‘갈등 관리’ 영역에서만은 덴마크(1점)에 이어 0.94점으로 점수가 높았다.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 지표가 가장 뛰어난 곳은 태국(0.69점)이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한국교육개발원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2009년 국제교육협의회(IEA)가 전 세계 중학교 2학년생 14만 600여명을 설문한 ‘국제 시민의식 교육연구’(ICCS) 자료를 토대로 36개국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 지표를 계산한 결과, 한국이 0.31점(1점 만점)으로 35위에 그쳤다고 27일 밝혔다.
한국 청소년은 지역사회 단체와 학내 자치단체에서 자율적으로 활동한 실적의 비중이 높은 ‘관계 지향성’과 ‘사회적 협력’ 부문의 점수가 모두 36개국 중 최하위(0점)였다. 반면 갈등의 민주적 해결 절차와 관련한 지식을 중시한 ‘갈등 관리’ 영역에서만은 덴마크(1점)에 이어 0.94점으로 점수가 높았다.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 지표가 가장 뛰어난 곳은 태국(0.69점)이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03-2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