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초기에 비타민과 엽산을 복용하지 않은 임신부의 자연유산 및 비정상 임신 위험률이 복용한 임신부보다 2.5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야채와 과일, 생선류를 많이 섭취하면 신생아의 아토피 발병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임신 중 유해물질 노출에 의한 후세대 영향 연구’라는 보고서에서 신경관이 닫히기 전인 임신 13주 이전에 엽산이나 비타민을 복용하지 않은 여성은 유산과 비정상 임신 위험률이 2.5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이 연구는 지난해 2~11월 임신 13주 이전의 초기 임산부 100명과 임신 37주 전 조산하거나 저체중아를 낳은 임산부 50명, 정상 체중아를 출산한 임산부 50명 등 모두 200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임신 1분기(1∼3개월)에만 엽산과 비타민을 복용한 임신부보다 임신 2∼3분기(4∼9개월)에 엽산과 비타민을 복용한 임신부의 신생아가 체중이 더 많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임산부의 약 20%는 임신 전에 엽산을 복용하지 않았으며, 임신 직전이나 초기에 엽산제를 복용한 임산부도 전체의 10%에 그쳤다. 연구팀은 “정부 차원에서 선천성 기형 예방을 위해 엽산 섭취량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임신 중 유해물질 노출에 의한 후세대 영향 연구’라는 보고서에서 신경관이 닫히기 전인 임신 13주 이전에 엽산이나 비타민을 복용하지 않은 여성은 유산과 비정상 임신 위험률이 2.5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이 연구는 지난해 2~11월 임신 13주 이전의 초기 임산부 100명과 임신 37주 전 조산하거나 저체중아를 낳은 임산부 50명, 정상 체중아를 출산한 임산부 50명 등 모두 200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임신 1분기(1∼3개월)에만 엽산과 비타민을 복용한 임신부보다 임신 2∼3분기(4∼9개월)에 엽산과 비타민을 복용한 임신부의 신생아가 체중이 더 많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임산부의 약 20%는 임신 전에 엽산을 복용하지 않았으며, 임신 직전이나 초기에 엽산제를 복용한 임산부도 전체의 10%에 그쳤다. 연구팀은 “정부 차원에서 선천성 기형 예방을 위해 엽산 섭취량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1-04-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