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훈련소에서 군 의료 관계자들과 부대 간부들의 안일한 대처로 훈련병이 사망하는 등 사고가 잇따르자 국방부가 의료체계 보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운영키로 했다.
국방부는 23일 의무사고와 관련해 이용걸 국방차관을 위원장으로 6개 정부 부처 관련 국장과 강대희 서울대 예방의학 교수 등 민간전문가 6명 등으로 구성된 군 의료체계보강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6일부터 가동돼 10월까지 운영되는 TF는 사단급 이하 부대의 진료체계 개편 및 의료지원인력 확충, 예방중심의 환경 조성 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국방부 김형기 보건복지관은 “육군 차원의 의료지원체계 실태 조사 결과를 의무정책에 반영하는 방안과 군 의료지원 인력에 대한 수요 예측, 의무인력 확보방안, 소요 예산 등을 TF에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군에 예방중심 의료문화를 정착하고 부대의 병사관리체계에서 후송까지의 진료기록 유기적 정보공유, 국방의학원 설립 문제 등도 다뤄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24일 육군훈련소에서 숨진 노모 (23) 훈련병은 부대 간부들과 의무관계자들이 증상에 대해 안일하게 대처해 증상이 악화됐기 때문인 것으로 결론났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국방부는 23일 의무사고와 관련해 이용걸 국방차관을 위원장으로 6개 정부 부처 관련 국장과 강대희 서울대 예방의학 교수 등 민간전문가 6명 등으로 구성된 군 의료체계보강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6일부터 가동돼 10월까지 운영되는 TF는 사단급 이하 부대의 진료체계 개편 및 의료지원인력 확충, 예방중심의 환경 조성 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국방부 김형기 보건복지관은 “육군 차원의 의료지원체계 실태 조사 결과를 의무정책에 반영하는 방안과 군 의료지원 인력에 대한 수요 예측, 의무인력 확보방안, 소요 예산 등을 TF에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군에 예방중심 의료문화를 정착하고 부대의 병사관리체계에서 후송까지의 진료기록 유기적 정보공유, 국방의학원 설립 문제 등도 다뤄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24일 육군훈련소에서 숨진 노모 (23) 훈련병은 부대 간부들과 의무관계자들이 증상에 대해 안일하게 대처해 증상이 악화됐기 때문인 것으로 결론났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1-05-2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