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백수는 영원한 백수’로 고착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국내 4년제 대학 졸업자 2명 가운데 1명은 졸업 후 7년이 지나도 일자리를 잡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취업 비율은 여성 대졸자가 남성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이 같은 결과는 2002년도에 졸업한 전국 25개 대학 졸업생 3만 6125명에 대한 취업경력을 7년 3개월간 추적·분석한 결과에서 확인됐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주요 일자리 못 얻고 비정규직에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6일 공개한 ‘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안착과정과 전공별 차이’라는 연구논문에 따르면 4년제 대졸자 가운데 졸업 후 7년 3개월 동안 ‘주요 일자리’를 가진 비율은 43.4%에 불과했다. 절반이 넘는 나머지 56.6%의 대졸자들은 이 기간에 주요 일자리를 찾지 못한 이른바 ‘고학력 백수’들이었다. 연구논문은 ‘주요 일자리’를 졸업 후 7년 동안의 평균 직업경력연수(3.8년)를 고려, ‘3년 이상 근속한 일자리’로 규정했다.
같은 기간 성별 취업률은 남성 대졸자가 53.1%로 절반이 약간 넘었지만, 여성 대졸자는 31.6%에 그쳐, 남녀 간 취업률 차이가 노동시장 진입 단계에서부터 큰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졸업자 미취업 남성의 2배
전공별 취업률은 공학계가 56.5%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의약계(49.6%) ▲사회계(42.4%) 순이었다. 이에 비해 ▲이학계(38.6%) ▲인문계(33.0%) ▲예체능계(26.4%) ▲사범계(20.9%) 등은 대체로 낮았다.
김미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은 “지난 10여년간 많은 대졸자들이 비정규직이나 단기적 일자리에 반복 취업하면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1-05-2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