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19일↑ 겨울 17일↓…10년에 0.18도씩 기온 상승

여름 19일↑ 겨울 17일↓…10년에 0.18도씩 기온 상승

입력 2011-07-01 00:00
수정 2011-07-01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00년대 들어 우리나라의 기온이 크게 상승하면서 여름 일수는 늘어나고 겨울 일수는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기상청이 발간한 책자 ‘기후변화 이해하기’에 따르면 지난 99년간(1912~2010년)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은 10년에 0.18도씩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912~1920년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은 12.5도였으나 2001~2010년에는 14.1도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과 대구 지역은 10년마다 0.24도가 상승해 다른 지역에 비해 상승 폭이 컸다.

연평균 기온 상승과 함께 강수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10년마다 21.7㎜씩 증가해 1900년대 초반 1155.6㎜ 수준이던 것이 2000년대에는 1379.1㎜로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강릉이 10년마다 29.7㎜가 늘어나 증가량이 가장 많았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느끼는 계절 일수도 변하고 있다. 1912~1920년까지 겨울 일수(평균기온 5도씨 이하)는 108일이었지만 2001~2010년에는 91일로, 무려 17일이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여름 일수(평균기온 20도씨 이상)는 103일에서 122일로 19일이 증가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07-0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