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와 높은 공공 부문 임금 인상률로 올해 임금협상을 마무리한 사업장의 평균 임금 인상률이 지난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100인 이상 사업장 8458곳 중 지난달 말까지 임금협상을 타결한 3636곳의 협약 임금(정액급여+고정상여금) 인상률은 5.2%로 지난해 같은 기간 인상률 4.6%보다 0.6% 포인트 상승했다.
부문별로는 민간과 공공이 각각 5.2%(3556곳), 4.1%(80곳)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과 숙박·음식업이 각각 6.3%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제조업도 5.8%에 달했다. 사업장 규모로는 5000인 이상 사업장 5.7%, 1000~5000인 미만 5.3%, 300∼500인 미만 5.2% 순이었다.
임금교섭이 타결된 사업장의 비율은 43.0%로 지난해 같은 때의 22.5%보다 20.5% 포인트 높았다.
고용부 관계자는 “임금협상에 대한 복수노조 제도의 영향을 두고 전망이 엇갈렸지만 결과적으로는 노사가 새로운 상황에서 갈등보다는 화합을 선호해 임협 타결을 앞당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4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100인 이상 사업장 8458곳 중 지난달 말까지 임금협상을 타결한 3636곳의 협약 임금(정액급여+고정상여금) 인상률은 5.2%로 지난해 같은 기간 인상률 4.6%보다 0.6% 포인트 상승했다.
부문별로는 민간과 공공이 각각 5.2%(3556곳), 4.1%(80곳)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과 숙박·음식업이 각각 6.3%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제조업도 5.8%에 달했다. 사업장 규모로는 5000인 이상 사업장 5.7%, 1000~5000인 미만 5.3%, 300∼500인 미만 5.2% 순이었다.
임금교섭이 타결된 사업장의 비율은 43.0%로 지난해 같은 때의 22.5%보다 20.5% 포인트 높았다.
고용부 관계자는 “임금협상에 대한 복수노조 제도의 영향을 두고 전망이 엇갈렸지만 결과적으로는 노사가 새로운 상황에서 갈등보다는 화합을 선호해 임협 타결을 앞당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1-08-2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