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한계상황..부도는 시간문제”

“축산농가 한계상황..부도는 시간문제”

입력 2012-01-06 00:00
수정 2012-01-06 16: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송아지 6월 후 홍수 출하”..육우 전철 밟을라

“과거에 번 돈으로 버티고들 있어. 이 돈이 바닥나면 부도농가가 부지기수일 거야.”

전북 정읍시 정우면에서 한우 350마리를 키우는 문신우(56)씨.

문씨는 소 값 하락 얘기를 꺼내자 우울한 표정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작년 한 해 아내와 하루 6~7시간 열심히 일하며 소를 키웠다. 하지만, 그는 1억4천만 원이나 손해를 봤다고 털어놨다.

3년 전에는 30개월 큰 수컷 거세우를 마리당 900만 원 정도에 팔아 돈을 좀 만졌다. 그러나 지난달은 마리당 600만 원을 밑돌아 본전(760만 원)도 못 건졌다.

사료 값은 30%나 올랐지만 소 값은 큰 폭으로 내렸기 때문이다.

그는 “상당수 농가가 3~5년 전에 번 돈으로 겨우 버티고 있지만, 그 돈을 다 까먹은 그 이후부터 부도나는 축산농가가 끝없이 나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문씨는 요즘 농가와 도매상 간 직거래 값보다 우시장 값이 싸지만, 거래가 안 된다며 소 값은 갈수록 더 떨어질 것이라고 걱정했다.

그는 2012년 6월 이후 2~3년간이 큰 문제라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축산농가들이 2010년 구제역 파동으로 미뤘던 인공수정을 지난해 4월부터 시작하면서 이번 달부터 송아지가 본격적으로 나온다.

그는 이 때문에 2012년 6월부터 송아지가 홍수 출하되고 이후로 ‘1만 원 육우’에 버금갈 정도로 ‘개 값으로 소 잡아먹는 때’가 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읍시 이평면에서 한우 200마리를 사육하는 한남석(53)씨.

한씨는 2011년 말까지 정산해야 할 사료 값(2천500만 원), 농기계 삯, 볏짚 값 등 모두 돈 3천500만 원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출하한 거세우 16마리는 마리당 평균 700만 원도 받지 못했다. 게다가 송아지 60마리도 마리당 40만 원 내린 160만 원에 팔아 큰 손해를 봤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한 씨는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구제역 이후 인공수정된 송아지가 본격 시장에 풀리면서 공급이 수요를 추월, 가격 하락을 더 부채질하고 사료 값은 더 오를 게 뻔해서다.

한 씨는 “몇 년 전부터 예견된 재앙이지만 정부는 손을 놓고 있었다”며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정부가 사육두수를 줄이도록 암소 도태 장려금을 지급하고 사료 값을 지원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