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균형 발전 계획 영향 충청·강원등 중부권 유입
지난해 수도권에 들어온 인구보다 빠져나간 인구가 많았다. 인구통계 작성을 시작한 1970년 이후 처음으로 수도권 인구가 순유출을 기록했다. 이런 현상은 10대와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고르게 나타났다.주로 이동하는 20대와 30대 인구가 감소하고, 혼인율과 경제활동참가율이 하락하면서 수도권 인구가 줄어드는 것으로 풀이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수도권 유입층이던 20~30대의 인구가 감소했고, 지방균형발전 계획 등으로 인해 지방으로 이주한 인구가 늘어 수도권 인구가 지난해 첫 순유출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보통 진학·결혼·취업 등 생애주기에 맞춰 인구가 이동하는데, 혼인율과 청년 취업률이 떨어지면서 인구 이동도 줄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인구 100명당 이동자수를 나타내는 인구 이동률은 지난해 16.2%로 197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수도권에서 빠져나간 인구는 충청과 강원 등 중부권으로 쏠렸다. 혁신도시·행정도시 등 지역균형발전 영향으로 중부권으로 인구가 이동하고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2-01-3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