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메달 오심 등 재발 않도록 스포츠법률전문가 될 것”

“금메달 오심 등 재발 않도록 스포츠법률전문가 될 것”

입력 2012-03-15 00:00
수정 2012-03-15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축구선수 출신 로스쿨생 김가람씨 박지성 스승인 김희태 前감독 아들

“잠재력 있는 운동선수들이 법에 어두워 승부조작 등 유혹에 빠지거나 운동 외적인 문제로 좌절하는 일이 많습니다. 스포츠 법률 전문가가 돼 그들을 돕고 싶습니다.”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2학년에 재학 중인 김가람(28)씨가 로스쿨에 진학한 이유다.

이미지 확대
김가람씨
김가람씨
김씨는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2009년 서울대 체육교육과를 졸업할 때까지 축구선수로 뛰었다. 김씨는 1970년대 국가대표 축구팀 수비수이자 안정환과 박지성 선수를 길러낸 김희태(전 아주대·명지대·대우 감독)씨의 둘째 아들이다.

초등학교 때부터 학업과 운동을 병행해 온 김씨는 운동만 강조하는 환경 속에서 어려움을 겪는 친구들을 봐 왔다.

“처음에는 제가 아는 친구들을 위한 상담전문가가 되고 싶었어요. 그런데 대학에 들어가고서 개개인을 돕는 것도 좋지만, 스포츠 행정 전반을 개선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생각했죠. 결국 로스쿨 진학을 결심했습니다.”

김씨는 2004년 아테네올림픽 체조선수 양태영이 심판의 오심으로 금메달을 놓쳤던 일을 예로 들었다. “우리 체육계가 법을 잘 몰라 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제 시간 안에 이의 제기를 못 했어요. 눈 뜨고 메달을 놓친 셈이죠.” 스포츠 법률 전문가 양성이 필요한 이유다.

국내 스포츠 행정 전반을 개선하고 국내 스포츠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것도 김씨가 세운 목표다. 김씨는 “선수 출신 스포츠 행정가가 많아져야 스포츠 관련 제도가 선수들을 위한 방향으로 바뀔 수 있다.”면서 “아쉽게도 선수 출신 스포츠 행정가들이 법·제도에 있어 전문성이 부족한 편”이라고 지적했다.

“국제스포츠기구의 변호사나 중재인으로도 활동하고 싶다.”는 김씨는 “스포츠 법률 전문가가 국내에선 아직 미개척 분야라 어려운 점이 많겠지만 많은 운동선수와 팬들을 위해 일할 수 있으려면 우선 열심히 공부하는 게 저의 임무인 듯하다.”고 밝혔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2-03-1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