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빠른 환경조사… ‘천성산 사태’ 없었다
더 이상 ‘천성산터널 전철’은 밟지 않는다. 대형 토목사업을 추진하면서도 환경단체와 매끄러운 관계를 유지한 채 공사를 진행하는 구간이 있어 화제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20일 호남고속철도 구간 최장 터널인 계룡터널(7.24㎞) 관통식을 가졌다. 공기를 당초 계획(1년 8개월)보다 무려 2개월 앞당겼다. 그동안 큰 사고도 없었다.![20일 충남 공주시 계룡면 기산리 호남고속철도 계룡터널 종점 부근(하행기준)에서 김광재(오른쪽 세 번째)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과 지역주민, 공사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관통식을 갖고 있다. 철도공단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3/20/SSI_20120320172009.jpg)
철도공단 제공
![20일 충남 공주시 계룡면 기산리 호남고속철도 계룡터널 종점 부근(하행기준)에서 김광재(오른쪽 세 번째)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과 지역주민, 공사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관통식을 갖고 있다. 철도공단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3/20/SSI_20120320172009.jpg)
20일 충남 공주시 계룡면 기산리 호남고속철도 계룡터널 종점 부근(하행기준)에서 김광재(오른쪽 세 번째)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과 지역주민, 공사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관통식을 갖고 있다.
철도공단 제공
철도공단 제공
철도공단은 기본계획 수립부터 지역 환경단체·환경전문가들과 정기적으로 머리를 맞대고 회의를 했다. 설계단계부터 지역 환경단체와 환경전문가들로 생태환경모니터링위원회를 구성, 환경생태조사를 함께 했다. 이들의 의견에 따라 공주 마암교 밑에 생태공원을 조성하고 계룡산 절개지를 줄이기 위해 당초 설계를 일부 변경했다. 선로변 조경은 공사 과정에서 나온 지역 자생식물을 옮겨 심었다. 착공 후에는 터널 굴착 단계마다 지하수위 저감 및 양서·파충류 대체 서식지 조성 등 환경·생태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는 등 친환경 터널공사의 선례를 남겼다.
지역 민원과 갈등도 최소화했다. 지역 주민·이해단체 등의 의견을 들었다. 노선을 계룡산국립공원 중심을 관통하지 않고 기슭으로 우회토록 설계해 극심한 반대를 누그러뜨릴 수 있는 명분을 살렸다. 공사 과정에서는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첨단 공법도 동원했다. 컴퓨터가 장착된 점보드릴을 투입해 설계 오차를 최소화했고, 물이 많은 지점에서는 파수 그라우팅을 실시해 누수 및 환경 오염을 차단했다. 터널 공사에서 파낸 흙이 서울 잠실야구장을 90m 높이로 채울 수 있는 엄청난 양이었지만 먼지가 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철저한 감독을 했다. 대형 국책사업 과정에서 생기는 갈등 요인을 사전에 차단, 무리 없이 공사를 진행한 모범 사례로 꼽힌다. 한편 계룡터널 관통으로 2014년 개통 예정인 호남고속철도의 윤곽도 드러났다. 오송~광주(182.2㎞) 간 공정률은 41.1%이다. 전체 구간의 65%가 터널(31개)과 교량(72개소) 공사다. 광주~목포(48.7㎞) 구간은 2017년 개통 예정이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2-03-2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