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한국해’ 표기 17세기 고지도 발견

동해 ‘한국해’ 표기 17세기 고지도 발견

입력 2012-04-15 00:00
업데이트 2012-04-15 10: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문길 교수 “17세기 것은 처음…당시 일본인 인식 반영”

현재의 동해 해역을 ‘한국해’로 표기한 17세기 중반 고지도의 사본이 일본에서 발견됐다.

동해의 국제 명칭을 결정할 오는 23일 모나코 국제수로기구(IHO) 총회를 앞두고 이 고지도는 ‘일본해’를 고집하는 일본 측 주장의 설득력이 떨어짐을 보여주는 좋은 증거라 할 수 있다.

한일문제 전문가인 김문길(부산외국어대 명예교수) 한일문화연구소장은 15일 “로버트 더들리(Sir Robert Dudley)가 1646년에 그린 고지도에 일본이 ‘일본해’라고 주장하는 바다가 ‘Mare di Corai’, 즉 ‘한국해’로 나와 있다”고 밝혔다.

로버트 더들리는 17세기 엘리자베스 1세 때 영국의 귀족이자 이탈리아에서 활동한 탐험가 겸 지도 제작자로, 최초의 세계 해도(海圖)인 ‘바다의 신비’(Dell’Arcano del Mare)를 제작한 인물이다.

이 지도는 ‘바다의 신비’의 ‘아시아 해도 17장’(Asia Carta ⅩⅦ)으로 일본과 한반도 해안선을 비롯해 ‘한국해’와 ‘일본해’(Mare di Giappone) 등을 표시하고 있다.

지도에는 현재의 동해 해역이 ‘한국해’로 표시돼 있고 일본 가고시마 남단 해역이 ‘일본해’로 표기돼 있다.

김 소장은 “폐쇄된 17세기 조선에 비해 개방적이었던 일본인들로부터 해도 작성에 필요한 정보가 나왔을 것”이라며 “이 지도에 나타난 한국해와 일본해라는 명칭은 당시 일본인들의 인식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이 지도는 일본 문부성 산하 국제일본문화센터 소장품으로 일본 학계의 검증도 거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그는 전했다.

김 소장은 “지금까지 19세기, 18세기 고지도를 발견한 바 있지만 17세기 지도는 처음 확인한 것”이라며 “방위 개념에 따른 ‘동해’ 명칭보다는 이 지도대로 ‘한국해’로 하는 것이 더 타당하고 설득력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지도를 담당하는 일본인 관계자도 ‘19세기 이후에야 일본해 명칭이 등장하기 시작한다’고 했다”며 “일본 제국주의 이데올로기가 일본해라는 명칭을 만들어낸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