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솔로몬·한국·한주·미래저축은행 등의 영업정지를 발표한 가운데 살아 남은 기타 상장 저축은행들은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냈다.
7일 오전 9시7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진흥저축은행은 전 거래일보다 14.81%(280원) 상승한 2170원에 거래되고 있다. 금융당국의 퇴출 저축은행 발표 직전인 지난 4일 가격제한폭(14.86%) 가까이 급락한 것과는 상반된 양상이다.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서울저축은행은 14.97%(190원) 오른 1475원에 거래되고 있어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코스닥 시장에서 신민저축은행은 14.89% 급등한 1890원에, 푸른저축은행은 9.10% 오른 3775원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이 같은 상승세는 이들 저축은행이 금융당국의 칼날을 피하면서 ‘퇴출’ 불확실성이 해소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영업정지를 당한 솔로몬·한국저축은행은 상장폐지 실질 심사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가리기 위해 매매거래가 중단됐다.
거래소는 “6개월간 영업정지 등 경영개선명령을 부과받은 이들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상장폐지 실질 심사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뉴시스
7일 오전 9시7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진흥저축은행은 전 거래일보다 14.81%(280원) 상승한 2170원에 거래되고 있다. 금융당국의 퇴출 저축은행 발표 직전인 지난 4일 가격제한폭(14.86%) 가까이 급락한 것과는 상반된 양상이다.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서울저축은행은 14.97%(190원) 오른 1475원에 거래되고 있어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코스닥 시장에서 신민저축은행은 14.89% 급등한 1890원에, 푸른저축은행은 9.10% 오른 3775원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이 같은 상승세는 이들 저축은행이 금융당국의 칼날을 피하면서 ‘퇴출’ 불확실성이 해소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영업정지를 당한 솔로몬·한국저축은행은 상장폐지 실질 심사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가리기 위해 매매거래가 중단됐다.
거래소는 “6개월간 영업정지 등 경영개선명령을 부과받은 이들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상장폐지 실질 심사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뉴시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