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서울현충원 시민공원 탈바꿈

국립 서울현충원 시민공원 탈바꿈

입력 2012-06-07 00:00
수정 2012-06-07 0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방문객 증가… 올 300만 목표

국립 서울현충원이 도심 속 시민 공원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동작동 국립묘지’라는 이름이 더 친숙한 서울현충원은 지난 1955년 문을 연 이후 각급 학교와 공공기관이 참배를 독려하면서 1980년에는 방문객이 783만명에 달했다. 그러나 교육의 자율화가 강조된 2000년대 들어 방문객 수가 점차 줄어 지난 2008년에는 99만명이 찾아오는 데 그쳤다.

정진태 서울현충원장은 6일 “우리 현대사나 호국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줄었고 폐쇄적인 현충원의 이미지가 방문객 수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면서 “지난 4년간 ‘열린 현충원’을 목표로 시설 개선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해 세계적 호국공원으로 변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서울현충원의 방문객 수는 지난 2009년 200만명을 넘어섰고 2010년 217만명, 2011년에는 257만명으로 꾸준히 늘었다. 올해는 이날까지 160만명이 방문해 300만 방문객 유치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현충원이 역점을 둔 분야는 추모사업 확대와 시설개선 그리고 각종 문화행사 유치다. 일반묘역에 더 이상 자리가 없자 지난 2006년부터 2만 1000위의 유골을 안치할 수 있는 납골시설인 충혼당을 운용하고 있다. 아울러 현충원 안팎으로 내부에 4㎞, 담장을 따라 도는 5.1㎞의 산책길을 만들어 도심 속 공원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게 했다.

하종훈기자 artg@seoul.co.kr



2012-06-0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