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출석 이상은 회장은 누구

특검 출석 이상은 회장은 누구

입력 2012-11-01 00:00
수정 2012-11-01 10: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BBK·도곡동땅 등 MB 관련 의혹마다 거론

이명박 대통령의 아들 시형(34)씨에 이어 큰형인 이상은(79) 다스 회장이 1일 특검에 소환됐다.

내곡동 사저 부지 매입자금과 관련된 핵심 참고인으로 출석한 이 회장은 과거 BBK 사건, 서울 도곡동 땅 소유주 논란 등 이 대통령을 둘러싼 의혹이 제기될 때마다 이름이 오르내린 인물이다.

이 회장은 사돈인 고(故) 김재정(영부인 김윤옥 여사의 오빠)씨와 자동차 시트 부품업체 다스 및 도곡동 땅을 공동 소유해왔다.

그러나 이 회장은 명의자일 뿐 다스와 도곡동 땅의 실소유주는 이 대통령이라는 의혹이 지난 대선 전부터 제기돼왔다.

1933년생인 이 회장의 최종 학력은 포항 동지상고 졸업이다. 1973년부터 경기도 이천에서 목장을 경영하고 1977년부터는 제주도 서귀포 과수원에서 3년 정도 감귤농사를 지었지만 별로 성공적이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회장은 1987년 김재정씨와 함께 경북 경주에 현대자동차 하청업체인 대부기공㈜을 설립, 경영자로 변신한다.

자동차 시트 부품을 납품한 이 회사는 이 대통령이 서울시장으로 재직하던 2003년 2월 다스로 회사명을 바꿨다.

회사의 전신은 현대자동차 시트사업부가 설립한 별도법인으로, 고(故) 정주영 현대 회장이 1987년 부품사업을 당시 현대건설 사장이던 이 대통령에게 맡기는 과정에서 경영권이 이 회장 측으로 넘어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스의 지난해 매출은 6천270억원으로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에 충남 아산공장, 서울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미국, 중국, 체코, 인도, 브라질 등지에 해외사업장을 두고 있다.

이 회장의 조카 시형씨는 2010년 이 회사에 과장으로 입사한 뒤 올해 이사로 승진했다.

2007년 대선을 앞두고 BBK 사건의 장본인인 김경준씨가 당시 이명박 후보를 다스의 실소유주로 지목해 논란이 일자 검찰과 특검 수사가 이어졌다.

검찰은 이 회장의 도곡동 땅 지분에 대해서는 제3자 소유라는 수사결과를 발표했다. 도곡동 땅 매각대금은 다스의 유상증자에 납입된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이 회장은 당시에도 건강상 이유로 병원에 입원한 상태였으며, 검찰과 특검이 병원 방문조사를 하기도 했다.

변호인에 따르면 이 회장은 수차례 심장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적이 있고 고령에다 지병이 여럿 있어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15일 특검 수사개시를 하루 앞두고 출장차 중국으로 출국했다가 지난 24일 귀국한 이 회장은 건강 관련자료를 내고 2차례에 걸쳐 특검 출석일자를 늦췄다.

지난달 25일 시형씨 조사에 이어 이 회장까지 특검 조사를 받게 되자 대통령 일가에 대한 특검의 칼끝이 과연 어디까지 향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