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여 개에 달하는 학교 비정규직의 직종을 비슷한 업무끼리 통합해 10∼20개로 간소화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학교 비정규직의 고용 안정과 학내 효율적 인력관리 등을 위해 이런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학교 비정규직은 초등 돌봄 전담강사와 조리종사자 등 직종이 세세하게 나뉜 탓에 학교가 특정 사업을 없애면 업무 전환이 어려워 직원이 해고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에 따라 교과부는 교무ㆍ과학ㆍ전산보조 등 유사한 일을 하는 직종을 함께 묶어 직종 수를 줄이고 사업 변화에 따라 효율적으로 인력을 재배치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교과부는 내년 봄께 자세한 직종 통합안을 완성해 시ㆍ도 교육청이 자율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신학용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은 “무리한 직종 통합으로 사서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직종에 피해를 주거나 대량해고 등의 문제가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기존 직종을 정원 감축 없이 합치는 것인 만큼 해고 우려가 없도록 하겠다. 급여 등 처우개선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최선의 방법을 찾겠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교육과학기술부는 학교 비정규직의 고용 안정과 학내 효율적 인력관리 등을 위해 이런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학교 비정규직은 초등 돌봄 전담강사와 조리종사자 등 직종이 세세하게 나뉜 탓에 학교가 특정 사업을 없애면 업무 전환이 어려워 직원이 해고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에 따라 교과부는 교무ㆍ과학ㆍ전산보조 등 유사한 일을 하는 직종을 함께 묶어 직종 수를 줄이고 사업 변화에 따라 효율적으로 인력을 재배치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교과부는 내년 봄께 자세한 직종 통합안을 완성해 시ㆍ도 교육청이 자율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신학용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은 “무리한 직종 통합으로 사서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직종에 피해를 주거나 대량해고 등의 문제가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기존 직종을 정원 감축 없이 합치는 것인 만큼 해고 우려가 없도록 하겠다. 급여 등 처우개선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최선의 방법을 찾겠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