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교육대상 大賞 배준영 교사
“발명이 아니더라도 일본처럼 지역마다 퇴직자들이 자신의 지식과 재능을 기부할 수 있는 활동 공간이 마련됐으면 합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12/14/SSI_20121214024659.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12/14/SSI_20121214024659.jpg)
그는 학교 울타리를 벗어나 대전 지역 중학교 1학년과 부모가 함께하는 토요발명교실을 4년째 운영하고 있다. 발명을 통해 부모와 자녀가 ‘소통’의 장을 마련하게 하자는 취지에서다. 수업은 반드시 부모 중 한 명이 참여해 발명품을 제작하고 개선하는 과정을 함께하도록 했다. 한계도 경험했다. 전공자도 아니고 전문가도 아닌 상태에서 2년 과정으로 운영하면서 바닥이 드러났다. 2010년 2기부터는 1년 과정으로 줄이고 수료하면 로봇사랑동호회와 연계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배 교사는 “단순히 발명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는 공로보다 아이들의 인성 교육에 기여했다는 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2-12-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