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대 못 따라가는 소외계층

스마트시대 못 따라가는 소외계층

입력 2013-05-13 00:00
업데이트 2013-05-13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모바일 정보, 일반인의 28%… 스마트폰 보급률·활용률 낮아

장애인, 농어민, 결혼이민여성 등 소외계층의 모바일 정보화 수준이 일반인의 4분의1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3500만명을 넘었지만 소외계층 가운데 스마트폰 보유자는 10명 가운데 2명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PC기반 정보 격차는 줄어들고 있는 반면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지 못하는 ‘신(新) 디지털 정보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12일 발표한 ‘2012년도 정보 격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소외계층의 모바일 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의 27.8%에 불과했다. 이 가운데 장·노년층(22.2%), 농어민(25.3%) 등이 특히 정보화에 뒤졌으며, 장애인(30.2%)과 저소득층(46.1%)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조사 대상은 일반 국민 4300명과 소외계층 1만 3200명으로, 대인면접조사를 실시한 뒤 지수로 산출했다.

소외계층의 모바일 정보화가 뒤지는 이유는 스마트폰 보급률이 낮아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는 능력과 실제 활용하는 비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소외계층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21.7%로 2011년(8.6%)보다는 증가했지만 전체 국민의 스마트폰 보유율 61.5%과 비교하면 3분의1 수준에 머물렀다. 다만 PC기반 정보 격차는 해소 추세다. 지난해 소외계층의 PC기반 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의 74.0%로 2011년 대비 1.6% 포인트, 2004년 대비 29.0% 포인트 향상됐다. PC 보유율(68.7%)과 인터넷 이용률(46.8%)은 전체 국민에 비해 각각 13.6% 포인트, 31.6% 포인트 낮았다.

미래부 관계자는 “소외계층 대상 스마트기기 보급, 장애인을 배려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향상과 기기 개발을 추진할 것”이라며 “모바일 활용교육 및 전문강사 양성,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모바일·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교육과정 개설 등으로 정보 격차를 줄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3-05-13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