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항일 의병장’ 양문칠 최후 행적 찾아

‘지리산 항일 의병장’ 양문칠 최후 행적 찾아

입력 2013-08-23 00:00
업데이트 2013-08-23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남독립운동硏, 묘소 등 발견…日만행 울분 토한 뒤 자결한 듯

지리산 최후의 항일 의병장 양문칠(1884~1938)의 최후 행적이 밝혀졌다.
경남독립운동연구소장인 정재상 하동문화원 향토사연구위원장은 22일 양문칠 의병장의 최후 행적을 알 수 있는 기록물과 그가 묻혀 있는 무덤을 유족들의 증언 등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양 의병장은 경남 지역 의병부대인 경남창의대의 박동의 의병대장 등과 함께 지리산 일대에서 1907년부터 1915년까지 일본군과 맞서 싸운 지리산 최후 항일 의병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최후에 관한 내용은 그동안 확인이 되지 않았다. 정 소장은 “1960년에 발행된 남원 양씨 족보와 양 의병장의 아들 재수(77·하동군 악양면)씨 등의 증언을 통해 양 의병장이 자결한 뒤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공동산에 묻힌 사실을 최근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 족보에는 양 의병장이 1938년 4월 10일 일본군 감시망이 좁혀지자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옛 장터거리에서 많은 사람을 향해 일제의 침략상에 대해 연설하며 울분을 토하다 자결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양 의병장 자결 당시 생후 7개월이었던 아들 재수씨는 “부친의 시신은 마을 주민이 수습해 악양면 입석리 하덕 공동산에 안장했다고 어머니로부터 들었다”고 정 소장에게 말했다.

정 소장은 “유족과 족보 기록을 종합해 볼 때 양 의병장은 진주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총상을 입고 하동으로 피신해 악양면 장터에서 울분을 토하다 자결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 소장은 앞서 지난 5월 양문칠을 비롯한 하동 출신 의병장 12명의 항일투쟁이 담긴 일제 기록물 진중일지(陣中日誌)를 공개했다.

하동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3-08-23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