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격전지 금강서 유해 20여구 발견

한국전쟁 격전지 금강서 유해 20여구 발견

입력 2014-08-21 00:00
업데이트 2014-08-21 0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측 탄두·남측 경찰 허리띠 발견

전북 익산시 망성면 금강변에서 한국전쟁 당시 숨진 것으로 추정되는 20여구의 유해가 추가로 발굴됐다.

20일 익산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8일 유해의 뼛조각이 발견된 현장에서 갯벌 속에 흩어진 20여구에 달하는 유해를 추가로 발굴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관계자는 “발견 현장 주변에서 유해들이 여러 군데 흩어진 채 발견됐다”며 “육안으로는 20구 정도로 보이는데 정확히 몇 구인지는 정밀 감식을 해 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유해들과 함께 당시 북한군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AK소총의 탄두와 탄피도 발견됐다. 또 검정 고무신과 오래된 의복 등 1950년대 것으로 보이는 유류물도 함께 발견됐다.

유해가 발견된 지역은 한국전쟁이 한창인 1950년 7월 17일 북한군이 강경을 점령하면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한국전쟁 당시 이곳에서는 한국군의 전사 기록은 없었지만 남하하는 북한군을 경찰 700여명이 맞서 전투를 벌였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이 전투에서는 강경 경찰서장을 비롯해 67명의 경찰관이 전사했다.

실제 이날 유류물 중에서는 경찰 허리띠가 발견되기도 했다.

여러 정황으로 미뤄 이 유해들은 한국전쟁 당시 숨진 경찰과 민간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용석 유해발굴감식단 조사과장은 “강경을 점령한 북한군이 군산을 점령하기 위해 이곳을 지나치면서 무력 저항을 한 경찰과 민간인을 강둑에서 사살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후 발굴은 경찰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유해발굴감식단은 전문성 있는 업무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4-08-21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