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대교 유료전환 첫 날 차량통행 ‘썰렁’

부산항대교 유료전환 첫 날 차량통행 ‘썰렁’

입력 2014-08-21 00:00
업데이트 2014-08-21 15: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방향 접속도로 미개통…이용객 불만 높아

21일 오전 8시께 부산 북항 신선대부두 앞 도로. 편도 4개 차로 중 좌회전해 부산항대교로 진입하는 안쪽 1,2 차로에 차량 10여 대가 서 있었다.

이미지 확대
부산항대교 유료전환 첫날 한산
부산항대교 유료전환 첫날 한산 부산 남구 감만동과 영도구 청학동을 연결하는 부산항대교(길이 3.3㎞)가 21일 0시부터 유료로 전환됐다. 유료화 첫날 차량 통행이 적어 한산한 모습이다.
연합뉴스
신호가 바뀌자 실제로 좌회전하는 차량은 6대 정도였다. 차를 몰고 요금소에 이르렀더니 하이패스 부스 1곳과 일반 부스 1곳 등 2곳에서만 통행료를 받았는데도 차량이 줄지어 서지 않았다.

요금을 내고 부산항대교 위를 달리는 동안 오가는 차량이 한눈에 들어올 정도로 적었고 불과 몇 분 만에 영도구 청학동으로 빠지는 램프로 내려왔다.

교량 중간 중간에 있는 표지판들은 남항대교 쪽으로 진입할 수 없다고 알리고 있었다.

부산항대교(남구 감만동∼영도구 청학동, 길이 3.3㎞, 너비 18.6∼25.6m)가 21일 0시부터 유료로 전환됐지만 차량 통행량은 애초 예상보다 훨씬 적었다.

부산항대교 운영사인 북항아이브릿지㈜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전 10시까지 부산항대교 양방향 통행량은 4천700여 대에 불과했다.

무상운영 기간 부산항 대교의 평균 하루 차량통행량은 계획통행량(하루 4만9천838대)은 물론 최소운영수입보장(MRG) 보장 통행량(계획통행량의 80%·하루 3만9천870대)에 한참 못 미치는 2만1천 대 정도였다.

북항아이브릿지 측은 “오전 상황만 보면 애초 예상보다 차량 통행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적어도 하루치 통행량은 나와봐야 유료 전환 후 통행량에 관해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부산항대교를 이용한 사람들은 큰 불만을 나타냈다.

이날 영도 쪽에서 감만동 쪽으로 부산항대교를 이용한 손기용 씨는 “완전 개통하고 나서 통행료를 받아야지 반쪽짜리 다리를 개통해 놓고 돈을 받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택시운전사 김태흡 씨는 “완전 개통하지도 않고 비싼 통행료를 받으면 안 된다. 완전 개통 전까지는 통행료를 절반만 받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현표 씨는 “양방향 접속도로 공사가 한창이어서 부산항대교에 진입하기 전까지 차량정체가 심해 이용하기가 몹시 불편하다”고 말했다.

부산항대교와 남항대교를 연결하는 길이 2.43㎞의 영도 쪽 접속도로(고가도로)와 부산항대교와 광안대교를 잇는 길이 3.94㎞의 감만동 쪽 접속도로(고가·지하차도) 공사가 지연되고 있어 당분간 이용객들의 불만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