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 83만5천명으로 늘어…”노동기본권 쟁취, 비정규직 차별 철폐” 등 주력
한국노총과 국민노총이 한 식구가 됐다.이로써 한국노총은 국내 최대 상급 노동단체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면서 제2 노총인 민주노총과의 격차를 더 벌릴 수 있게 됐다.

연합뉴스
손 잡은 두 노총
3일 오전 서울 서울 여의도 노총회관에서 열린 한국노총·국민노총 통합 기자회견에서 정연수 국민노총 위원장(왼쪽)과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이 협약서에 서명을 마친 후 악수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양 노총은 통합선언문에서 “오늘 한국노총과 국민노총이 한국 노동조합 운동의 새 역사를 쓰려고 한다”면서 “노동계의 분열을 종식하고 1국 1노총 시대를 열기 위한 그 시작을 한국노총과 국민노총이 함께 하려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의 제1노총으로서 책임 있는 노동운동을 펼쳐 자랑스러운 노동조합 운동 조직으로 거듭날 것”이라면서 “통합된 한국노총은 언제나 조합원과 국민의 편에서 조합원과 국민을 위해 싸우고 일하겠다”고 다짐했다.
양 노총은 통합 이후에도 한국노총이라는 명칭을 유지하기로 했다.
통합으로 한국노총의 조합원 수는 약 83만5천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고용노동부가 작년 기준으로 집계한 양 노총의 조합원 수는 한국노총 81만9천755명, 국민노총 2만221명이지만 국민노총 지방공기업노조연맹 소속 노조원 5천500여명은 이번 통합에 참여하지 않았다.
통합에 불참한 노조들은 내년 하반기까지 별도의 산별연맹을 만들어 한국노총에 가입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노총은 정연수 국민노총 위원장을 비롯해 국민노총 임원진의 역할과 직위 등을 내년 2월 대의원대회를 거쳐 정할 방침이다.
한국노총은 온전한 노동기본권 쟁취, 비정규직 차별철폐 비정규직 등 미조직 노동자 조직화, 통상임금 범위확대, 노동시간 단축 등의 현안에 주력하기로 했다.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은 인사말에서 “정부가 정리해고 요건 완화, 중규직(일종의 무기계약직) 도입, 공무원 연금 등의 현안과 관련해 민주적인 절차를 무시하며 일방통행하고 있다”며 “경제정책의 실패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것을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