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지내시는지 소식이라도”… 5년째 엄마 찾아 삼만리

“잘 지내시는지 소식이라도”… 5년째 엄마 찾아 삼만리

최훈진 기자
입력 2015-03-17 00:14
수정 2015-03-17 03: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화여대 장학생으로 고국 찾은 네덜란드 입양아 김은영 씨

“아마 어머니는 미혼모라서 저를 포기하신 것 같습니다. (저도 혼자 딸을 길러 보니 어머니가)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이제야 조금 이해가 됩니다. 어머니를 꼭 만나고 싶습니다.”
이미지 확대
5년째 생모를 찾는 김은영씨가 16일 자신의 어린 시절 사진이 담긴 휴대전화를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5년째 생모를 찾는 김은영씨가 16일 자신의 어린 시절 사진이 담긴 휴대전화를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한국인 부모를 찾는 네덜란드 입양아 출신 김은영씨의 어릴 적 모습.  연합뉴스
한국인 부모를 찾는 네덜란드 입양아 출신 김은영씨의 어릴 적 모습.
연합뉴스


5년 전 자신의 뿌리를 찾으려고 고국 땅을 밟은 소냐 판덴베르흐(36·여·박사과정)는 16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에서 얼굴은 물론 이름도 알지 못하는 생모를 애타게 기다리는 심정을 털어놨다. 생후 3개월 만에 네덜란드로 입양됐던 그는 2010년 한국에 온 뒤 사귀게 된 남자 친구와의 사이에서 두 살배기 딸을 뒀다.

1979년 2월 10일 마포구 공덕동에서 태어난 판덴베르흐의 한국 이름은 김은영. 어머니는 ‘좋은 가정에 보내 달라’는 말과 함께 딸을 남의 손에 맡겼다. 도봉구 사회복지법인 한국사회봉사회(KSS)를 통해 네덜란드로 입양된 그는 평생 정체성 때문에 혼란스러웠다고 했다.

판덴베르흐는 “친부모가 버렸다는 생각이 들 때마다 너무 힘들었다”며 “대부분의 해외 입양아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어려움일 것”이라고 말했다.

19세 때 양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뒤 그의 삶은 더 외로워졌다. 마침 네덜란드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그에게 고국 땅을 밟아 볼 기회가 찾아왔다. 2010년 이화여대 여성학과 대학원 장학생으로 뽑힌 것이다.

만사를 제치고 한국에 와 친어머니를 찾아 나섰지만 어머니를 찾기는 결코 쉽지 않았다. 그는 “입양기관을 수차례 찾았지만 사생활 보호 때문에 어떠한 정보도 얻지 못했다”며 고개를 떨궜다.

박사과정 막바지인 판덴베르흐는 졸업 논문 주제를 ‘입양아’로 정했다. 해외로 입양된 한국인들이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느끼는 괴리감 등을 분석하고, 입양아와 생모들이 겪는 트라우마를 들여다볼 계획이다. 판덴베르흐는 어딘가에 살아서 딸의 소식을 접할지도 모르는 어머니에게 하고 싶은 말을 전했다. “입양아들은 생모에 대한 막연한 그리움을 갖고 있습니다. 직접 만나기 곤란하시다면 다른 방법을 통해서라도 (어머니가) 잘 지내시는지 꼭 알고 싶습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5-03-1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