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의 전파자’ 있나
삼성서울병원에서 제3의 메르스 감염자를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가 발생했다. 감염 경로가 불분명한 115번째 환자(77·여)와 141번째 환자(42)는 삼성서울병원에 최초로 바이러스를 전파한 14번째 환자(35)와 간접적으로나마 연결고리가 있었지만 이 환자는 직간접적인 접촉 사실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서울병원에서 14번째 환자 이외의 인물로 인한 4차 감염 환자가 발생한 것은 처음이다.17일 162번째로 확진 판정을 받은 이 환자는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방사선사(33)다. 지난 11~12일 영상진단장치 촬영 중 다른 확진자로부터 감염된 것으로 보건당국은 추정하고 있다.
권준욱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아직 역학조사 중이지만 현재까지 파악한 바로는 4명의 확진자가 영상 촬영을 했다”면서 “확진자들이 엑스레이 촬영을 하며 기침을 했고, 이 방사선사가 비말(작은 침방울)을 맞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엑스레이 촬영 당시 이 방사선사는 마스크 등 보호구를 모두 착용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병원 측은 촬영을 마친 뒤 보호구를 벗는 과정에서 감염된 것으로 보고 있지만 다른 경로를 통해 감염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방사선사는 지난 14일 증상이 발현돼 격리 조치됐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방사선사 사례처럼 삼성서울병원 내에서 새로운 감염이 발생할 가능성도 보고 있다”고 말했다.
강동경희대병원에서도 이날 76번째 환자(75·여)의 바이러스에 노출된 의료진(31)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 의료진은 지난 5일 76번째 환자가 이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을 때 같은 공간에 있었으나 직접 진료하지는 않았다.
최대 잠복기 지난 환자도 속출
지난달 27~29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에 감염된 환자가 잠복기를 지나고도 계속 발생하고 있다. 가족 간병을 위해 당시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찾았던 보호자 3명이 지난 16일 확진 판정을 받은 데 이어 17일에도 같은 시기 응급실을 방문했던 4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보건 당국은 메르스 검사 결과가 오락가락해 최종 확진 판정이 늦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메르스 증상이 잠복기를 넘겨 나타난 사람도 적지 않아 의구심이 남는다.
권준욱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늘 삼성서울병원에서 환자가 발생한 것은 단지 확진이 늦어졌기 때문일 뿐”이라며 “메르스 잠복기가 길어지고 있다는 문제 제기는 합리적이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잠복기인 2주를 넘겨 증상이 나타난 대구 남구청 공무원(52·154번째 확진자)과 146번째 확진자(55)의 사례는 명확히 설명하지 못했다.
잠복기 문제와 관련해선 3가지 추정이 가능하다. 우선 보건 당국의 주장대로 단순히 확진 판정이 늦어지면서 파생된 현상일 수도 있고, 잠복기가 진짜로 늘어났을 가능성도 있다. 사람에 따라 최대 잠복기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은 전문가들도 인정하고 있다. 최대 잠복기가 2주라는 것은 방역의 핵심 전제로, 최대 잠복기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메르스 의심자의 격리 기간이 달라질 수도 있어 무척 예민한 문제다.
보건 당국의 통제망 밖에서 정부가 모르는 사이에 감염이 계속 이뤄지고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는 갔었지만 당시엔 감염되지 않고 이후 병원 의료진이나 직원, 환자 등 ‘제3의 인물’에 의해 바이러스에 노출됐다면 증상이 늦게 나타날 수도 있다. 이날 확진 판정을 받은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사인 162번째 환자(33)는 엑스레이 촬영을 하다 이 병원에 바이러스를 최초 전파한 14번째 환자가 아닌 다른 환자에게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보건 당국은 추정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관계자는 “방사선사가 메르스 확진자 병동에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기를 들고 가 촬영을 했고, 마스크는 썼지만 벗는 과정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된 것 같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확진자 병동에 촬영하러 간 방사선사가 응급 상황도 아닌데 이토록 허술하게 방비한 이유는 여전히 의문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병원 직원이나 의료진 중에 아직 파악되지 않은 감염자가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보건 당국은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환자와 9100여명의 직원에 대해 매일 발열 검사를 하고, 조금이라도 이상이 있는 사람은 유전자 검사를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