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공고출신 ‘막변호사’…法은 내게도 불공정했다”

“나는 공고출신 ‘막변호사’…法은 내게도 불공정했다”

입력 2015-08-02 10:28
수정 2015-08-02 1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 사건 18번 재판서 전패 기록 「고백 그리고 고발」대기업·전관·대형로펌 장벽 부딪치며 절감한 사법 현실

공고를 나왔다. 용접공으로 일하다 늦깎이 대학생이 됐다. 사법시험도 합격했다. 남 부러울 게 없었다.

2005년 5월 A씨의 사건만 맡지 않았어도 안천식(49·사법연수원 34기) 변호사의 인생은 평탄했을지 모른다. 굳이 한 사건을 두고 10년간 오랜 법정싸움을 하지 않아도 됐었을지 모른다.

A씨는 경기도 김포의 한 마을의 부친 땅을 한 대기업 건설사에 뺏길 위기에 놓여 있었다. 시가 수십억원 짜리 땅이었다.

건설사는 아버지가 생전에 썼다는 매매계약서를 내밀었다. 그런데 계약서의 글씨는 아버지의 필체가 아니었다. 도장도 평소 쓰던 게 아닌 막도장이 찍혀 있었다.

계약서의 부친 계좌번호 역시 계약시점에는 해지된 계좌였다. 건설사는 개발이 추진되던 마을의 다른 주민을 상대로도 이런 수상한 계약서를 만들었다.

정황상 아버지가 동의하지 않은 게 분명했다. 이에 안 변호사는 당연히 승소를 예상했다. 그런데 결과는 패소였다. 재판부는 증인인 건설사 직원 말만을 신뢰했다.

받아들일 수 없어 항소했다. 재판을 거듭하며 허위 계약서임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하나하나 나왔다. 하지만 결과는 또 패소. 상고했지만 심리 불속행 기각이었다.

재심과 관련 소송까지 10년 동안 한 사건을 놓고 민사소송 18건을 치렀다. 그러나 법원은 모두 건설사의 손을 들어줬다. 안 변호사의 주장은 법정에서 번번이 막혔다. 18전 18패.

왜 그랬을까. 건설사는 늘 대형 법무법인을 썼다. 부장판사 출신 변호사가 배경도 연줄도 없는 ‘막 변호사’(연수원 수료 후 바로 개업한 변호사)인 안 변호사를 상대했다.

사건이 대법원에 가면 넉 달 전 대법원 재판연구원을 했던 전관 변호사가 건설사를 대리했다. 인천지방법원에서는 1년 전 그 법원 단독판사였던 변호사가 나왔다.

어렵게 구한 증인은 건설사 측의 회유를 받은 듯 법정에서 말을 바꿨다. 마을 주민은 ‘거대 기업을 상대로 어떻게 싸우겠느냐’며 도와달라는 요청을 거부했다.

계약서가 무효라는 단순한 사실을 증명하려던 안 변호사는 이런 과정을 겪으며 일반 국민은 물론 변호사인 자신에게도 사법이 공정하지 못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안 변호사는 “평범한 변호사인 저로서는 아무리 증거를 제출하고 주장을 해도 이들을 막을 수 없었다는 것이 제가 경험한 엄연한 사법 현실”이라며 전관예우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 현실을 탄식했다.

이길 수 없는 소송이 지나간 자리엔 ‘폐허’만 남았다. A씨 부친의 땅에 세들어 살던 세입자는 집을 철거하라는 건설사의 법적 요구에 농약을 마시고 자살했다.

육군사관학교 출신 전직 장교였던 A씨도 병을 얻어 일상생활이 불가능해졌다. 땅 역시 뺏겼다. 안 변호사도 무력감에 한때 변호사업을 정리했다.

그는 지난해 7월 마지막 소송이 대법원에서 기각되자 그간 악전고투의 과정을 「고백 그리고 고발」(도서출판 옹두리)이란 책에 담았다. 법정 밖에서 이어지는 변론인 셈이다.

안 변호사는 “왜 설득이 안 되는 이런 재판과 판결을 강요당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국민의 사법 불신은 단지 법에 대한 무지 때문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