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초혼부부 중 여성연상이 동갑 추월…출생아 최저

서울 초혼부부 중 여성연상이 동갑 추월…출생아 최저

입력 2015-08-23 10:41
수정 2015-08-23 1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0대 여성 취업자 20대 첫 추월…기혼여성 5명 중 1명 경력단절

’연상녀-연하남’ 커플이 더는 신기한 풍경이 아닌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23일 서울시가 발간한 ‘통계로 본 서울여성의 삶’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초혼부부 중 여성이 연상인 부부의 비중이 1991년 이후 처음으로 동갑내기 부부를 초월했다.

초혼부부 중 남성 연상은 2004년 72.5%에서 지난해 68.6%로 감소했고, 동갑은 15.1%에서 15.6%로 큰 변화가 없었지만 여성 연상은 12.3%에서 15.8%로 증가했다.

평균 초혼연령은 여성이 30.7세로 2004년 28.3세에서 2.4세 증가했으며, 남성은 32.8세로 2004년 30.9세보다 1.9세 늘었다.

또 지난해 만 13세 이상 여성 중 45.9%는 결혼이 선택사항이라고 답해 ‘하는 것이 좋다’(38.9%)는 답변보다 많았다. 반드시 해야 한다고 답한 여성은 11.2%에 불과했다.

남성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성은 ‘선택사항’이란 답변이 가장 높은 반면, 남성은 아직 ‘결혼은 하는 것이 좋다’는 비율이 45.4%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서울의 출산율은 0.98명을 기록, 가임여성(만 15∼49세) 1명당 평균 출생아 수가 1명이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합계출산율은 1.0명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서울은 1998년부터 초저출산사회에 진입했다.

서울시는 “가임여성 인구 감소와 미혼 증가, 자녀 양육·교육비 부담, 가치관 변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또 출생아 수는 2007년(10만명)을 제외하고 최근 10년간 10만명 이하였으며, 지난해에는 8만 4천명으로 1981년 출생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여성 취업자는 227만 9천명으로 2004년보다 11.8% 늘었다.

또 지난해 50대 여성 취업자는 49만 2천명으로 처음으로 20대 여성 취업자(48만 2천명)를 추월했다. 60세 이상 여성 취업자도 23만 8천명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나타냈다.

서울시는 “1955∼1963년생인 베이비붐세대의 50대 진입, 저출산에 따른 20대 인구 감소, 청년층 취업난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해 만 15∼54세 기혼 여성 중 경력이 단절된 여성은 33만명으로 18.5%를 차지해 5명 중 1명꼴로 경력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