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윤근 “횡령·배임액 많을수록 양형기준보다 판결 관대”

우윤근 “횡령·배임액 많을수록 양형기준보다 판결 관대”

입력 2015-10-07 10:55
수정 2015-10-07 10: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횡령이나 배임 금액이 많을수록 양형 기준보다 관대한 판결이 선고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우윤근 의원이 7일 대법원 국정감사에 앞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횡령·배임 범죄 피해액이 1억원 미만일 때 양형기준 준수율은 98.4%였지만 300억원 이상이면 41.7%로 급감했다.

우 의원은 대검찰청이 영남대에 의뢰해 작성한 ‘양형기준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보고서에서 2011∼2013년 횡령·배임 사건 1천327건을 분석한 결과 피해액이 1억원∼5억원인 경우 양형기준 준수율이 90.7%, 50억원∼300억원은 68.5%였다고 밝혔다.

뇌물 사건에서도 수수액이 1천만원 미만인 때 양형기준 준수율은 96.5%였지만 1천만원∼3천만원은 79.1%, 3천만원∼5천만원은 37.5%, 5천만원∼1억원은 25%에 불과했다.

우 의원은 “법원이 스스로 만든 양형기준을 어기며 작은 범죄는 원칙대로, 큰 범죄는 봐주기 판결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