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으로 위암을 치료할 경우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면 수술 후 통증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천대 길병원 소화기내과 정준원 교수팀은 2012년 5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선종이나 조기위암으로 진단돼 내시경점막하박리술(ESD)로 치료한 1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1일 밝혔다.
내시경점막하박리술(ESD)은 의료진이 내시경을 통해 위암과 위선종의 병변 주위 점막을 부풀린 뒤 특수 기구를 이용해 절제하는 치료법이다. 이 경우 의료진은 장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장내로 공기를 주입해 병변 부위를 팽창시킨 뒤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연구팀은 환자들을 이산화탄소 주입군(54명)과 일반 공기주입군(56명)으로 나눈 뒤 두 그룹의 복부통증 정도를 시각통증척도(VAS)를 통해 시간대별로 기록했다. 또, 부작용 발생률, 복부 둘레, 진정제 처방량, 진통제 사용량 등도 함께 평가했다.
그 결과, 이산화탄소 주입군의 복부 통증 정도가 일반 공기주입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통증 경감 속도도 빨랐다.
복부 통증의 시각통증척도 점수를 보면, 시술 1시간 후 이산화탄소군은 35.2점이었으나 일반 공기주입군은 48.5점으로 측정됐다. 이로부터 3시간 후에는 이산화탄소 주입군이 27.8점, 일반 공기주입군은 42.5점, 6시간 후에는 이산화탄소 주입군이 18.4점, 일반 공기주입군은 34.8점으로 각각 조사됐다.
시술 후 하루가 경과한 뒤 이산화탄소 주입군은 9.2점으로 통증 정도가 경미한 수준으로 떨어진데 비해 일반 공기주입군은 21.9점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또, 수술 후 진통제가 필요한 환자도 일반 공기주입군이 42.3%로 이산화탄소 주입군의 22%보다 2배 가량 많았다.
이처럼 일반 공기주입군의 통증지수가 높은 것은 과다하게 주입된 공기가 장을 팽창시켜 수술 후 통증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 공기와 달리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장점막을 통해 빠르게 흡수돼 장의 팽창이 유지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킨다. 이 연구 결과(제1저자 김수영)는 이 분야 국제학술지(Gastrointestinal Endoscopy) 최근호에 게재됐다.
정준원 교수는 “과거 위암 수술을 할 때는 전신마취와 개복수술이 반드시 필요했지만, 내시경점막하박리술(ESD)이 개발된 후에는 개복하지 않고도 위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됐다”면서 “시간과 비용, 부작용이 적고, 회복도 빠르며 위의 기능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갈수록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데다 수술 후 공기 주입에 따른 통증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 환자들의 고통을 크게 덜게 됐다”고 말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가천대 길병원 소화기내과 정준원 교수팀은 2012년 5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선종이나 조기위암으로 진단돼 내시경점막하박리술(ESD)로 치료한 1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1일 밝혔다.
내시경점막하박리술(ESD)은 의료진이 내시경을 통해 위암과 위선종의 병변 주위 점막을 부풀린 뒤 특수 기구를 이용해 절제하는 치료법이다. 이 경우 의료진은 장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장내로 공기를 주입해 병변 부위를 팽창시킨 뒤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연구팀은 환자들을 이산화탄소 주입군(54명)과 일반 공기주입군(56명)으로 나눈 뒤 두 그룹의 복부통증 정도를 시각통증척도(VAS)를 통해 시간대별로 기록했다. 또, 부작용 발생률, 복부 둘레, 진정제 처방량, 진통제 사용량 등도 함께 평가했다.
그 결과, 이산화탄소 주입군의 복부 통증 정도가 일반 공기주입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통증 경감 속도도 빨랐다.
복부 통증의 시각통증척도 점수를 보면, 시술 1시간 후 이산화탄소군은 35.2점이었으나 일반 공기주입군은 48.5점으로 측정됐다. 이로부터 3시간 후에는 이산화탄소 주입군이 27.8점, 일반 공기주입군은 42.5점, 6시간 후에는 이산화탄소 주입군이 18.4점, 일반 공기주입군은 34.8점으로 각각 조사됐다.
시술 후 하루가 경과한 뒤 이산화탄소 주입군은 9.2점으로 통증 정도가 경미한 수준으로 떨어진데 비해 일반 공기주입군은 21.9점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또, 수술 후 진통제가 필요한 환자도 일반 공기주입군이 42.3%로 이산화탄소 주입군의 22%보다 2배 가량 많았다.
이처럼 일반 공기주입군의 통증지수가 높은 것은 과다하게 주입된 공기가 장을 팽창시켜 수술 후 통증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 공기와 달리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장점막을 통해 빠르게 흡수돼 장의 팽창이 유지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킨다. 이 연구 결과(제1저자 김수영)는 이 분야 국제학술지(Gastrointestinal Endoscopy) 최근호에 게재됐다.
정준원 교수는 “과거 위암 수술을 할 때는 전신마취와 개복수술이 반드시 필요했지만, 내시경점막하박리술(ESD)이 개발된 후에는 개복하지 않고도 위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됐다”면서 “시간과 비용, 부작용이 적고, 회복도 빠르며 위의 기능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갈수록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데다 수술 후 공기 주입에 따른 통증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 환자들의 고통을 크게 덜게 됐다”고 말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