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입 5년 만에 다시 유해성 논란
경찰이 5년 전부터 시위 진압에 사용해 온 ‘합성 캡사이신’(PAVA·파바)의 유해성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14일 서울 광화문 ‘민중총궐기 대회’에서 경찰이 역대 가장 많은 양을 물대포에 섞어 뿌린 것으로 드러나면서다. 경찰이 당일 하루 동안 살포한 파바는 432ℓ(살수량 18만 2100ℓ)로 지난 4월 18일 세월호 1주년 집회 때 사용했던 것(30ℓ)의 14배를 웃돌았다. 시민단체는 눈에 들어가면 실명을 유발하는 등 인체에 치명적인데도 경찰이 이를 무시하고 마구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경찰은 적은 양을 희석해 물과 섞어 뿌리는 만큼 인체에 유해하지는 않다고 반박한다.17일 경찰청 등에 따르면 파바는 합성 캡사이신의 일종으로 주로 호신용 스프레이에 쓰인다. 경찰이 파바를 도입한 건 2010년부터다. 과거엔 ‘CS’라는 최루액을 사용해 왔는데 이를 두고 발암물질 등 인체 유해성 논란이 불거지자 경찰은 2009년 경기 평택 쌍용차 사태 이후 CS 대신 파바를 도입했다. 그러나 2011년 7월 한진중공업 파업 현장에서 ‘2차 희망버스’ 참가자가 파바가 섞인 물대포를 맞고 피부에 발진이 생긴 이후 파바의 유해성 논란이 불거졌다.
의료 관련 시민단체는 파바에 대해 “인체에 매우 유해하다”고 주장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에 따라 작성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보면 파바에 접촉하면 피부와 눈에 심한 자극을 일으키고, 수생생물에 매우 유독하다고 나와 있다. 또 과다 노출 시 사망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도 근거로 든다. 건강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 관계자는 “국제적으로 공신력을 갖춘 최소한의 자료인 물질안전자료만 보더라도 인체에 사용해선 안 되는 물질임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집회에서 뿌려지는 파바는 안전 권고 지침에 따라 규정대로 희석한 만큼 인체에 해롭지 않다고 반박한다. 실제로 경찰은 이날 궐기대회에서 파바를 살수차에 200대1(0.5%)과 100대1(1%) 비율로 섞어 사용했다. 피부와 안구에 대한 자극은 줄 수 있지만 소량을 사용하기에 심각한 위협은 없다는 의미다. 또 도입할 당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성분 분석을 의뢰하는 등 안전성 여부를 검토해 이미 문제가 없다고 결론지었다고 설명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현재 합성 캡사이신을 대체하는 물질을 도입하는 방안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5-11-1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