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를 홀로 키우는 미혼부가 생모의 이름조차 몰라도 출생신고를 할 수 있게 됐다. 지금까지는 복잡한 소송절차를 거쳐야 했다.
대법원은 19일부터 미혼부가 가정법원의 간단한 확인절차를 거쳐 자녀 출생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한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일명 ‘사랑이법’)이 시행된다고 18일 밝혔다.
미혼부는 유전자 검사서 등을 가정법원에 제출하면 출생신고를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생모의 이름·주민등록기준지·주민등록번호 등이 필요했다.
인적사항을 모르면 특별대리인을 선임해 성·본과 가족관계등록을 새로 만든 뒤 인지소송을 하는 등 여러 차례 재판을 거쳤다.
이 때문에 자녀가 복지혜택에서 장기간 소외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미혼부들은 자녀를 고아원에 보낸 뒤 입양하는 편법도 썼다.
생모가 출산 직후 떠나버려 출생신고를 하지 못한 ‘사랑이 아빠’ 사연이 2013년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법이 개정됐다.
대법원 관계자는 “미혼부의 자녀가 의료보험과 보육비 지원 등의 혜택을 신속하게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합뉴스
대법원은 19일부터 미혼부가 가정법원의 간단한 확인절차를 거쳐 자녀 출생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한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일명 ‘사랑이법’)이 시행된다고 18일 밝혔다.
미혼부는 유전자 검사서 등을 가정법원에 제출하면 출생신고를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생모의 이름·주민등록기준지·주민등록번호 등이 필요했다.
인적사항을 모르면 특별대리인을 선임해 성·본과 가족관계등록을 새로 만든 뒤 인지소송을 하는 등 여러 차례 재판을 거쳤다.
이 때문에 자녀가 복지혜택에서 장기간 소외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미혼부들은 자녀를 고아원에 보낸 뒤 입양하는 편법도 썼다.
생모가 출산 직후 떠나버려 출생신고를 하지 못한 ‘사랑이 아빠’ 사연이 2013년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법이 개정됐다.
대법원 관계자는 “미혼부의 자녀가 의료보험과 보육비 지원 등의 혜택을 신속하게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