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돌아오지 못한 아이들과 선생님이 있는데 먼저 졸업시킬 수 없다”
![세월호 참사가 우리나라 10대의 사망원인 통계까지 바꿔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해 5월 시민들이 세월호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노란 리본들을 매어놓은 모습.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9/23/SSI_20150923140410_O2.jpg)
![세월호 참사가 우리나라 10대의 사망원인 통계까지 바꿔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해 5월 시민들이 세월호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노란 리본들을 매어놓은 모습.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9/23/SSI_20150923140410.jpg)
세월호 참사가 우리나라 10대의 사망원인 통계까지 바꿔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해 5월 시민들이 세월호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노란 리본들을 매어놓은 모습.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4·16 가족협의회는 5일 ‘단원고 졸업식을 앞두고 드리는 말씀’이라는 제목의 자료에서 졸업식 불참 이유에 대해 “돌아오지 못한 아이들과 선생님이 있는데 우리 아이들(희생자)만 먼저 졸업을 시킬 수는 없다”며 “이들이 모두 돌아온 후 졸업식을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전했다.
또한 “희생자 가족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단원고 졸업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며 “축하받으며 졸업해야 할 생존학생들이 졸업식을 둘러싼 논란에 휘말려 마음을 다치면 안되기에 의사표현을 공개적으로 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어른들의 잘못이 빚어낸 끔찍한 참사에서 어렵게 스스로 살아나온 75명 생존학생들의 졸업을 정말 축하한다”며 “먼저 간 친구들을 잊지 않고 성실히 꿈을 이뤄 나갈 수 있도록 모두 따뜻하게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4·16 가족협의회는 희생된 2학년 학생(명예 3학년)들의 명예졸업식에도 참석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4·16 가족협의회는 “세월호 참사의 흔적을 지워버리기 위해 강행하는 명예졸업식에는 참석할 수 없다”며 “졸업식을 1월 초에 하는 이유는 졸업식 후 교실을 정리하고 리모델링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가족들은 교실과 관련한 어떠한 타협도 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또 “단원고와 경기도교육청은 세월호 참사 이후 새로운 교육이 무엇인지, 그러한 교육을 단원고에서 어떻게 실현할지 고민하고 연구해달라”고 촉구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