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촌 김성수 친일행위 맞다”…항소심도 일부 인정

“인촌 김성수 친일행위 맞다”…항소심도 일부 인정

입력 2016-01-14 14:34
수정 2016-01-14 14: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촌 김성수(1891∼1955) 선생의 일제 강점기 ‘친일 행적’ 상당 부분을 법원이 친일행위로 재차 인정했다.

서울고법 행정7부(황병하 부장판사)는 14일 인촌의 증손자 김재호 동아일보 사장과 재단법인 인촌기념회가 행정안전부 장관을 상대로 낸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취소 소송의 2심에서 양측의 항소를 기각하고 1심의 원고 패소 판결을 유지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는 인촌이 친일 행위에 가담했다고 판단해 친일 반민족 행위자로 지정했다.

그러자 김 사장과 인촌기념회 등은 “인촌의 활동에 관한 당시 신문기사를 믿을 수 없고, 일제가 조직한 단체에 이름을 올리거나 행사에 참석한 것은 강제 동원된 것일 뿐”이라며 취소 소송을 냈다.

1심은 “인촌이 전국 일간지에 징병, 학병을 찬양하며 선전·선동하는 글을 여러 편 기고했고 징병제 실시 감사축하대회에 참석했다”며 “이를 명의가 도용·날조됐다거나 오로지 일제의 강요에 의해 이뤄졌다고 볼 수는 없다”고 판단했다.

다만 “인촌이 황국정신을 높인다는 취지로 설립된 흥아보국단의 준비위원으로 선정된 것은 맞지만 이 단체가 어떤 활동을 했는지 구체적 자료가 없다”며 일제 내선융화·황민화 운동을 주도했다는 부분의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은 취소했다.

1심 판결은 2011년이었지만 항소심은 결론이 나오기까지 4년여가 걸렸다. 그 사이 선고기일이 잡혔다가 미뤄지고 재판장이 6번 바뀌면서 법원이 판단을 미루고 있다는 비판이 일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