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도발에 맞서 사상 최대 규모의 한·미 연례 연합훈련 키리졸브 연습이 진행되는 가운데 전북 군산 미공군기지에서 수발의 총성이 들렸다는 신고가 들어와 경찰이 수사를 벌였다. 하지만 비행기 이동에 따른 해프닝으로 알려졌다.
8일 군산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28분쯤 미공군기지에서 총성이 들려 미군이 영내에 비상령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총성 발생 직후 미군 측은 1시간 동안 기지 출입통제령을 내리고 총성이 들린 건물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내 근무자들은 “총소리가 났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그러나 인명피해도 없었고 1시간 뒤 출입통제가 해제됐다”고 전했다.
경찰이 영내 근무자들에게 수소문한 결과 총성은 1~6발로 차이가 컸다. 인명피해 여부도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총성은 F16 전투기를 배치하고 준비하는 가운데 나온 소리를 오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온라인에 ‘군산 미공군부대에서 총기 난사인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의혹을 제기했던 일본 아사히신문도 정정보도를 했다.
경찰 관계자는 “미군기지에서 발생한 사건은 수사권이 없어 접근을 하지 못하고 영내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탐문수사했지만 미군 측은 총성 자체를 부인했다”고 말했다.
군산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8일 군산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28분쯤 미공군기지에서 총성이 들려 미군이 영내에 비상령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총성 발생 직후 미군 측은 1시간 동안 기지 출입통제령을 내리고 총성이 들린 건물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내 근무자들은 “총소리가 났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그러나 인명피해도 없었고 1시간 뒤 출입통제가 해제됐다”고 전했다.
경찰이 영내 근무자들에게 수소문한 결과 총성은 1~6발로 차이가 컸다. 인명피해 여부도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총성은 F16 전투기를 배치하고 준비하는 가운데 나온 소리를 오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온라인에 ‘군산 미공군부대에서 총기 난사인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의혹을 제기했던 일본 아사히신문도 정정보도를 했다.
경찰 관계자는 “미군기지에서 발생한 사건은 수사권이 없어 접근을 하지 못하고 영내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탐문수사했지만 미군 측은 총성 자체를 부인했다”고 말했다.
군산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