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5일 어린이 충치 예방을 위해 초등학교 4학년과 저소득층 아동 1만명 등 모두 4만 5천명에게 포괄적 구강관리 서비스를 하는 ‘치과주치의 사업’을 한다고 밝혔다.
치과 주치의사업은 2012∼2014년 6개구에서 시범 운영됐으며 2015년 10개구에 이어 올해 17개구로 확대됐다.
지역 치과의원에서 구강보건교육, 불소도포, 치아 홈메우기, 치석제거 등 예방진료 서비스를 하는 데 1인당 4만원이 지원된다.
저소득층 아동은 만18세 미만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과 기초생활수급권자 중 보호자 동의가 있는 아동이 서비스 대상이다. 25개 자치구 내 보건소 구강보건실에서 보건교육과 예방진료 서비스를 해준다.
특히 신체·행동장애나 비용 부담으로 구강질환 치료가 어려운 아동은 서울시와 서울대 치과병원이 공동으로 치료와 치료비를 지원한다.
김창보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학생 및 아동치과주치의 사업으로 평생 구강건강을 유지하는 발판이 마련되기를 바라며 내년에는 25개 자치구 전체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치과 주치의사업은 2012∼2014년 6개구에서 시범 운영됐으며 2015년 10개구에 이어 올해 17개구로 확대됐다.
지역 치과의원에서 구강보건교육, 불소도포, 치아 홈메우기, 치석제거 등 예방진료 서비스를 하는 데 1인당 4만원이 지원된다.
저소득층 아동은 만18세 미만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과 기초생활수급권자 중 보호자 동의가 있는 아동이 서비스 대상이다. 25개 자치구 내 보건소 구강보건실에서 보건교육과 예방진료 서비스를 해준다.
특히 신체·행동장애나 비용 부담으로 구강질환 치료가 어려운 아동은 서울시와 서울대 치과병원이 공동으로 치료와 치료비를 지원한다.
김창보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학생 및 아동치과주치의 사업으로 평생 구강건강을 유지하는 발판이 마련되기를 바라며 내년에는 25개 자치구 전체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