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추진해온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 공사 통합이 노조 반대로 무산될 상황에 몰렸다.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 양대 노조(서울지하철노조·서울메트로노조)는 29일 양 공사 통합안이 조합원 투표에서 추인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노사정이 내년 초 통합 지하철 공사 출범을 위해 만든 잠정 합의안에 대해 서울메트로는 조합원 2625명 중 2336명(89.0%)이 투표했고 이 가운데 1230명(52.65%)이 반대했다. 서울지하철노조에서도 반대가 50%를 넘었다.
투표 결과에 따라 노사정 잠정 합의안은 무효가 되고 노조는 통합관련 협상을 중단한다. 서울도시철도공사 노조 찬반투표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각 노조는 투표가 부결되면 통합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이번 투표 부결로 서울시가 2014년 말부터 추진해온 지하철 통합혁신이 사실상 동력을 잃을 것으로 보인다.
반대표가 과반을 넘긴 것은 잠정 합의안이 지하철 양 공사 내부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아우르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각 노조 집행부가 합의해온 안을 두고 투표 전까지 몇몇 개별 지부는 반대 성명을 내기도 했다. 잠정 합의안에는 중복 인력 1029명을 5년에 걸쳐 자연 감축하고 절감된 인건비의 55% 이상을 처우개선에 쓰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또 통합공사 조례나 정관에 노동이사제를 제도화하고 경영협의회를 설치하는 방안도 들어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 양대 노조(서울지하철노조·서울메트로노조)는 29일 양 공사 통합안이 조합원 투표에서 추인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노사정이 내년 초 통합 지하철 공사 출범을 위해 만든 잠정 합의안에 대해 서울메트로는 조합원 2625명 중 2336명(89.0%)이 투표했고 이 가운데 1230명(52.65%)이 반대했다. 서울지하철노조에서도 반대가 50%를 넘었다.
투표 결과에 따라 노사정 잠정 합의안은 무효가 되고 노조는 통합관련 협상을 중단한다. 서울도시철도공사 노조 찬반투표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각 노조는 투표가 부결되면 통합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이번 투표 부결로 서울시가 2014년 말부터 추진해온 지하철 통합혁신이 사실상 동력을 잃을 것으로 보인다.
반대표가 과반을 넘긴 것은 잠정 합의안이 지하철 양 공사 내부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아우르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각 노조 집행부가 합의해온 안을 두고 투표 전까지 몇몇 개별 지부는 반대 성명을 내기도 했다. 잠정 합의안에는 중복 인력 1029명을 5년에 걸쳐 자연 감축하고 절감된 인건비의 55% 이상을 처우개선에 쓰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또 통합공사 조례나 정관에 노동이사제를 제도화하고 경영협의회를 설치하는 방안도 들어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