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통계국 보고서
35년쯤 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세계 2위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같은 기간 한국 인구는 570만명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3/30/SSI_20160330174817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3/30/SSI_20160330174817.jpg)
보고서는 한국의 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를 것으로 봤다. 노인 비중이 7%에서 21%까지 늘어나는 기간을 보면 한국은 불과 27년이 걸렸다. 이어 중국(34년), 태국(35년), 일본(37년) 등이 뒤를 따랐지만 고령화 속도는 한국에 미치지 못했다. 프랑스의 경우 157년이 소요될 것으로 나왔다. 미국은 지난해 14.9%에서 2050년에는 22.1%로 늘어난다. 이는 전체 228개국 가운데 85번째다.
한국의 급속한 고령화는 저조한 출산율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2050년 인구는 지난해보다 570만명이 줄어 7번째로 감소 폭이 큰 나라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보다 인구 감소가 큰 나라는 중국(5780만명), 일본(1970만명), 러시아(1250만명), 우크라이나(1040만명), 독일(930만명), 폴란드(620만명) 등으로 거론됐다.
같은 기간 노인 비중 변화를 대륙별로 보면 아시아(7.9%→18.8%)의 급증이 눈에 띄고 아프리카(3.5%→6.7%)는 여전히 낮을 것으로 관측됐다. 유럽(17.4%→27.8%)과 북미(15.1%→21.4%)는 현재 비율은 높지만 증가세는 상대적으로 완만할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지난해 73억명이었던 세계 인구가 2050년에 94억명으로, 같은 기간 세계 노인은 6억명에서 16억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6-03-3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