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지犬 커플 “은퇴합니다 멍멍”

탐지犬 커플 “은퇴합니다 멍멍”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5-18 22:16
수정 2016-05-18 22: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목조문화재 저승사자’ 흰개미 퇴치 반평생…국보 등 321건 지킨 보배·보람

지난해 7월,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된 경북 김천 직지사 제하당(直指寺 齊霞堂). 2003년생 짝꿍 ‘보람’(수컷)이와 ‘보배’(암컷)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제하당 기둥에 코를 대고 킁킁거렸다. 순간 보람이가 기둥을 응시한 채 우뚝 멈춰 섰다. 보배도 보람이 곁에서 미동도 하지 않았다. 기둥 안에 있는 흰개미를 찾은 것. 보람이와 보배는 페로몬 냄새를 통해 흰개미를 찾으면 그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훈련됐다.

이미지 확대
18일 오전 서울 경복궁 집경당에서 열린 ‘흰개미 탐지견 은퇴식’에서 주인공 보람(왼쪽)과 보배가 기념메달을 목에 걸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오전 서울 경복궁 집경당에서 열린 ‘흰개미 탐지견 은퇴식’에서 주인공 보람(왼쪽)과 보배가 기념메달을 목에 걸고 있다.
연합뉴스


사찰에서 흰개미 탐지활동을 하는 보람이. 연합뉴스
사찰에서 흰개미 탐지활동을 하는 보람이.
연합뉴스


목조문화재를 좀먹는 흰개미를 퇴치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 온 12살 특수목적견 보람과 보배가 18일 경복궁 집경당에서 은퇴식을 치르고 현역에서 물러났다. 보람과 보배는 각각 2007년, 2010년부터 전국의 중요 목조문화재 321건(국보 24건·보물 135건·중요민속문화재 162건)을 ‘목조문화재 저승사자’로 통하는 흰개미로부터 지켜냈다. 공로를 인정받아 2009년엔 ‘문화재지킴이 활동우수’ 사례로 선정돼 상을 받기도 했다. 흰개미 탐지견은 문화재청이 2007년 삼성생명과 문화재지킴이 협약을 체결하면서 도입됐다. 경기도 용인에 있는 에스원탐지견센터에서 생활하는 보람과 보배는 평균적으로 한 달에 두 차례씩 사나흘 일정으로 목조문화재 현장을 방문해 흰개미의 흔적을 찾아내는 일을 했다.

문화재청은 이날 보람과 보배에게 은퇴 기념 메달과 명예 문화재지킴이 위촉장을 수여했다. 이들 탐지견은 은퇴 후 자원봉사자 가정에 위탁돼 여생을 보내게 된다. 오래도록 보람, 보배와 흰개미 탐지 활동을 해 온 정소영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보람이와 보배는 사람으로 치면 환갑을 훌쩍 넘겼다”며 “힘이 많이 들었을 텐데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면서 느낀 점이 많았다”고 말했다.

장영기 문화재청 활용정책과 전문위원은 “보람이와 보배는 잉글리시 스프링거 스패니얼 종의 장점인 발달된 후각과 집중력으로 흰개미의 흔적과 서식지 등을 순식간에 찾아냈다”고 회고했다. 앞으로 보람과 보배의 빈자리는 2013년생 ‘옥소’, ‘올리비아’ 등 세 마리가 메운다. 에스원 소속의 새로운 흰개미 탐지견들은 3년에 한 번씩 목조문화재 전수 조사를 하게 된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5-1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