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마지막주·8월 셋째주 빈집털이 조심!

7월 마지막주·8월 셋째주 빈집털이 조심!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6-07-12 22:46
수정 2016-07-12 23: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휴가철 침입 범죄 3년간 5%↑ 전체의 절반 새벽 1 ~ 5시 발생

여름철 휴가 기간 중 극성수기를 전후로 7월 마지막 주와 8월 셋째 주에 범죄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가철 전체 침입 범죄의 47.6%다. 이 기간 집을 비운다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12일 에스원 범죄예방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여름 휴가철 침입 범죄가 연평균 대비 5% 증가했다. 주거 침입 건수는 연평균 대비 29%로 일반 점포(16%), 음식점(9%)보다 높았다. 이 중 7월 마지막 주와 8월 셋째 주에 범죄가 몰렸다. 7월 마지막 주는 휴가철 대목을 앞두고 현금을 많이 보유한 음식점과 일반 점포를 대상으로 한 범죄가 많았다. 8월 셋째 주는 학교 방학이 끝나는 기간으로 주말을 틈타 주택 침입이 잦았다.

올해 침입 절도는 예년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전염병 등의 별다른 이슈가 없어 휴가차 집을 비우는 가정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영향으로 인한 여행 자제로 8% 감소했지만 2013년과 2014년엔 각각 4%, 15% 늘었다. 연구소는 “올해 브렉시트의 영향으로 금값이 뛰면서 귀금속점과 주택에 보관하고 있는 패물 등을 노린 범죄가 기승을 부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휴가철 주택 침입은 전체 건수의 50%가 심야 시간(오전 1~5시)에 발생했다. 평상시 범죄와는 다른 양상이다. 평소에는 오후 4시부터 오후 11시 사이에 범죄가 많이 일어났다. 침입 경로도 출입문(5%)보다는 창문(60%), 베란다(30%)에 집중됐다. 휴가를 떠날 때 미처 단속하지 못한 창문 등을 통한 침입이 많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예다. 에스원은 이 기간에 맞춰 특별안심서비스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7-13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