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출망치 안내 안했다”…버스기사, 안전조치 미흡 ‘인정’

“탈출망치 안내 안했다”…버스기사, 안전조치 미흡 ‘인정’

입력 2016-10-16 10:15
수정 2016-10-16 1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울주경찰서, 기사가 가장 먼저 탈출도 확인…‘무리한 끼어들기’ 추궁

울산 경부고속도로 관광버스 화재 사고를 낸 운전기사가 출발 전 탈출용 망치 위치를 승객에게 안내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14일 오후 울산 울주군 서울산 IC 회차로 인근에서 국과수 직원들이 지난 13일에 발생한 경부고속도로 관광버스 대형교통사고 현장 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4일 오후 울산 울주군 서울산 IC 회차로 인근에서 국과수 직원들이 지난 13일에 발생한 경부고속도로 관광버스 대형교통사고 현장 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울산 울주경찰서 수사본부는 운전기사 이모(48)씨가 “출발 전 탈출용 망치 위치 등을 승객에게 알린 적이 없다”며 안전 관리 소홀을 일부 인정했다고 16일 밝혔다.

경찰은 또 이씨가 사고 직후 가장 먼저 탈출한 사실을 확인했다.

경찰은 이씨가 “탈출 직후 승객들에게 ‘이쪽(운전석 뒤 깨진 창문)으로 탈출하라’고 소리쳤다‘”고 진술했으나 이씨가 적극적으로 구조 활동을 했는지는 추가로 조사할 계획이다.

이씨는 사고 과정에 대해선 “타이어에 펑크가 나고 차체가 쏠리면서 방호벽을 들이받았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그러나 이씨가 제한속도 80㎞인 도로에서 100㎞ 이상 과속했고, 울산 나들목 직전에서 급히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무리하게 끼어들기를 하다가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사고 지점은 목적지인 울산으로 들어가는 언양분기점 램프 500m 앞 도로로 이씨가 언양분기점으로 진입하려고 급하게 차선 변경했을 가능성이 있다.

CC(폐쇄회로)TV 영상을 통해 확인된 사고 모습은 관광버스가 경주에서 울산 방향 1차선으로 속도를 내며 가다가 앞서 2차선으로 달리던 다른 버스 2대 사이로 들어간 직후 2차선과 공사구간인 갓길 사이 콘크리트 방호벽을 들이받고 불이 난다.

경찰은 관광버스 블랙박스가 소실된 상황이어서 사고 당시 주변 차량의 블랙박스 영상을 찾고 있다.

경찰은 또 부상자 등을 상대로 사고 당시 정황을 확인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실제 펑크가 났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타이어 조각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식 의뢰했다”며 “감식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씨는 현재 구속된 상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