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이후 고정 조형물 인정 없어…국민적 합의 전제돼야 가능”
최근 일부 보수 진영이 추진 계획을 밝혀 논란을 빚은 서울 광화문광장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건립에 서울시가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서울시 관계자는 4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기본적으로 광장은 비우고 개방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2009년 조성된 이래 새로운 고정 조형물 설치는 한 번도 인정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상이라는 것은 광화문광장의 상징성과 역사적인 측면에서도 논의돼야 하므로 국민적 합의가 전제돼야 가능하다고 판단된다”며 “이게 원칙적인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2일 출범식에서 동상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범국민 모금운동을 펼치겠다는 계획을 밝혀 거센 비판 여론이 일었다.
시 관계자는 “(박정희 동상은) 광화문광장의 근본을 건드리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 처리될 것은 아니다”며 “추후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이 들어온다면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를 통해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광화문광장에 고정 시설물은 인정된 것이 없고, 비우고 개방하는 것이 원칙이라는 입장에 따라 지난해 국가보훈처의 대형 태극기 설치 계획에 대해서도 “영구적 설치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