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종범 수첩·진술조서, 증거 철회” 朴반발…헌재 고심

“안종범 수첩·진술조서, 증거 철회” 朴반발…헌재 고심

입력 2017-01-18 15:40
업데이트 2017-01-18 16: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 “수첩 중 11권 위법수집”…헌재 “다음 기일에 수용 여부 결정”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의 증거로 채택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의 업무수첩과 검찰 피의자 신문조서(진술조서)를 두고 헌법재판소가 고심에 빠졌다.

박 대통령 측이 위법하게 수집된 안 전 수석의 수첩과 이를 기초로 작성한 일부 진술조서의 증거채택을 취소해달라고 요청했기 때문이다.

헌재는 18일 오후 2시 정례브리핑에서 “대통령 측이 제기한 안 전 수석의 수첩과 진술조서 증거채택에 대한 이의신청을 다음 변론기일에서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변론기일 날짜를 특정하지 않았지만 19일 7차 변론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헌재는 전날 열린 탄핵심판 6차 변론에서 안 전 수석의 검찰 진술조서와 진술조서에 기재돼 안 전 수석이 확인하고 인정한 수첩 내용을 증거로 채택했다.

헌재 관계자는 “대통령 측의 주장은 안 전 수석의 보좌관이 갖고 있던 수첩 11권에 대한 검찰의 압수는 적법한 집행장소에서 집행된 것이라고 볼 수 없어 형사소송법에 따라 적법한 증거가 아니므로, 이 11권과 이를 기초해 이뤄진 진술조서는 증거로 채택하면 안 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대통령 지시사항이나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 티타임 회의 내용 등이 적혀있는 것으로 알려진 안 전 수석의 수첩은 총 17권이다. 대통령 측은 이 가운데 위법하게 확보한 11권의 내용을 토대로 작성한 진술조서를 증거로 채택한 것을 재고해 달라는 주장이다.

안 전 수석의 수첩은 2015년 1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기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위법수집증거 논란이 있는 수첩은 2015년 7월 19일부터 2016년 7월 26일까지 작성된 부분이다.

헌재가 대통령 측의 주장을 받아들이면 안 전 수석의 수첩과 진술조서 상당 부분이 증거에서 빠지게 된다.

하지만 6차 변론에서 강일원 주심 재판관이 탄핵심판의 증거 채택은 형사소송 절차와 상관없이 이뤄진다고 밝힌 바 있어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미지수다.

헌재는 안 전 수석 외에 나머지 45명의 검찰 진술조서 증거채택도 다시 들여다 볼 예정이다.

헌재는 6차 변론에서 “검찰 진술조서는 원칙적으로 증거로 채택하지 않지만 진술 전 과정이 영상녹화돼 있거나 변호인이 입회해 진행된 진술조서는 증거로 채택했다”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