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문체부 인사 개입’ 우병우 정조준…이번엔 잡힐까

특검, ‘문체부 인사 개입’ 우병우 정조준…이번엔 잡힐까

입력 2017-01-30 10:28
수정 2017-01-30 1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좌천성 인사’ 관여 의혹…문체부 공무원 등 참고인 소환

박근혜 정부의 대표적인 실세로 통했던 김기춘(78)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윤선(51)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구속한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칼끝이 또 다른 실세인 우병우(50) 전 청와대 민정수석을 향하고 있다.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특검팀은 우 전 수석이 문체부 인사에 부당하게 관여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을 포착해 관련 수사에 나선 상태다.

특검팀은 지난해 산하기관으로 ‘좌천성’ 인사 조처된 것으로 알려진 문체부 관계자 등 일부 관련자를 30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우 전 수석은 작년 문체부 국·과장급 5명의 인사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부당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의혹에는 김종(56) 전 문체부 2차관도 연루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인사 배후에 우 전 수석이 있다고 의심하고 그가 실제로 관여했는지, 지시한 다른 ‘윗선’이 있는지 등 사실관계를 확인할 방침이다.

당시 인사는 민정수석실에서 내려온 명단을 바탕으로 이뤄졌으며, 김 전 차관의 개입도 있었다는 관련자 진술을 특검팀이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김기춘(78·구속) 전 대통령 비서실장의 지시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된 2014년 문체부 1급 고위공무원 ‘찍어내기’와는 별도의 사안이다.

우 전 수석의 인사 개입이 직무 범위를 넘어선 부당행위라는 점이 확인된다면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적용이 검토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검이 우 전 수석의 인사 개입 의혹을 조사하는 것은 비위 수사에 본격적으로 착수한 신호로 해석된다.

이미 그는 ‘비선 실세’ 최순실(61)씨의 ‘국정 농단’ 등 비리 행위 등을 제대로 감찰·예방하지 못한 직무유기 또는 관여·방조·비호한 의혹으로 특검법상 수사대상에 올라 있다.

이번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우 전 수석은 기존 의혹에 더해 집중적인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커진다.

문체부는 정부에 비판적인 문화·예술계 인사를 정부 지원 대상에서 배제하기 위한 ‘블랙리스트’를 작성·관리한 곳이다.

김기춘 전 실장이 2014년 문체부 실·국장 6명의 일괄 사표를 지시한 것도 블랙리스트 작성·관리에 반대하는 인사들을 솎아내기 위한 것으로 추정됐다.

문체부는 최순실씨의 여러 국정농단 의혹들과도 무관하지 않다.

2013년 최씨의 딸 정유라(21)씨가 출전한 승마대회 판정 시비를 조사했던 노태강(57) 전 체육국장은 박 대통령에게 ‘나쁜 사람’으로 찍혀 좌천됐다가 결국 퇴직했다. 특검은 이달 11일 노 전 국장을 소환 조사했다.

우 전 수석은 현 정부의 대표적인 실세로 분류됐지만, 그동안 국정농단 의혹에 연루된 혐의는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다. 특검도 수사 이후 40일이 지나는 동안 우 전 수석을 한 번도 소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문체부 인사 개입 의혹을 시작으로 여러 의혹이 검증대에 오를 전망이다.

특검법은 우 전 수석이 최씨의 국정농단을 방조·묵인한 의혹뿐 아니라 이석수(54) 전 대통령 직속 특별감찰관의 미르·K스포츠재단 내사를 방해하고 그를 해임하는 데 관여한 의혹도 수사대상으로 명기했다.

정치권과 언론이 제기한 각종 의혹이 수사대상이 될 것인지도 관심이다.

특검은 우 전 수석의 비위 의혹을 수사한 검찰 특별수사팀의 수사 기록 일체를 넘겨받아 검토 중이다.

특검 관계자는 “문체부 인사 개입 의혹만 들여다볼지는 조사를 해보면 알게 될 것”이라며 법이 허용한 범위에서 수사를 확대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