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靑행정관 “재단 사무실까지 챙겨 이상…안종범도 멋쩍어해”

전직 靑행정관 “재단 사무실까지 챙겨 이상…안종범도 멋쩍어해”

입력 2017-02-13 15:45
업데이트 2017-02-13 16: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정농단 재판에 증인 출석…“이사진 명단, 수석실서 받아 전경련 전달” “靑 회의서 전경련에 모금하라 한 건 아냐…행정적 도움으로 이해”

미르재단 설립 과정에서 실무 역할을 했던 전 청와대 관계자가 법정에서 당시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재단 사무실까지 직접 챙겨보라고 해 의아했다고 주장했다.

미르재단 이사진 명단도 경제수석실에서 받아 전경련에 전달했는데 역시 이상했다는 게 이 관계자 증언이다.

이수영 전 청와대 행정관은 13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김세윤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최순실(61)씨와 안 전 수석의 재판에 검찰 측 증인으로 나와 미르재단 설립 과정을 증언했다.

국정농단 의혹 사건과 관련한 재판에 청와대 전·현직 관계자가 나와 증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전 행정관은 미르재단 설립 과정에서 이른바 ‘청와대 회의’에 참석했던 멤버로, 재단 설립 실무 과정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행정관은 검찰이 “청와대 비서관과 행정관이 민간재단 사무실을 직접 답사하는 게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느냐”고 묻자 “이상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수석님(안종범)이 그 전날 전경련한테 (답사 후보지를) 만들어오라고 하고 직접 가보라고까지 하니까 다급하신 것 같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수석님이 얘기할 때도 ‘이런거까지 해야 하냐’는 식으로 웃었다. 수석님도 어디서 받고 가보라면서 멋쩍어했다”고 회상했다.

이 전 행정관은 3차 청와대 회의에서 전경련에 전달한 미르재단 이사진 명단도 “수석실에서 받아와서 전경련에 전달한 게 맞다”고 말했다.

그는 “장소도 마찬가지고 이사진 명단을 그 회의에서 전달하는 걸 보면서 ‘기업이 돈 내서 재단을 만들지만 재단 인사 등은 별도 추천을 받는구나’, ‘청와대 쪽 의사를 반영해서 기업들이 재단을 만드는구나’라고 생각은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4차례 열린 청와대 회의가 “‘기업이 얼마 가지고 와라’ 이런 걸 전달하는 회의는 아니었다”며 “전경련한테 모금하라고 한 게 아니라 재단 설립 서류에 ‘출자약정서’가 있다고 해서 필요한 구비 서류를 전경련이 담당하라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기업이 돈을 내서 재단을 만든다는 것은 안 전 수석에게서 들어 자연스러운 상황이었다는 것이다.

그는 검찰이 “1차 회의 때 대상 기업에 대한 이야기가 안 나올 수 없는 것 아니냐. (참여) 대상 9개 그룹에 대한 언급이 있었던 것 아니냐”고 확인을 구하자 “저도 답답한 부분인데 그 언급을 듣지 못했다. 제 생각을 말하라고 하면 하겠는데 (그런 얘기를) 들었느냐고 물으면…”이라며 참여 기업을 언급하고 논의한 사실은 없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 전 행정관의 증언에 대해 안 전 수석 변호인은 “각 분배금을 확정하거나 청와대 측에서 출연기업의 분배금액에 의견을 제시한 건 아니지 않느냐”고 확인을 구했다. 이에 이 전 행정관은 “전경련에서 자기들 기준이 있다고 말한 기억이 난다”고 말했다.

안 전 수석 변호인은 “청와대에서 챙기라는 의미도 전경련의 재단 설립에 행정적인 도움을 주라는 것 아니냐”고 물었고, 이 전 행정관은 “그렇다”고 답했다.

이 전 행정관은 “전경련 관계자나 저희나 기업에 전화해서 그런 걸(돈 내라고) 한다고 생각하지 못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