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 박 대통령 탄핵심판 방청에 높은 관심보여
![탄핵심판 D-1](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3/09/SSI_20170309160814_O2.jpg)
![탄핵심판 D-1](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3/09/SSI_20170309160814.jpg)
탄핵심판 D-1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 선고를 하루 앞둔 9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이 심판 준비로 분주하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헌재측은 이 가운데 24명을 정했다. 이들은 796대 1의 경쟁률을 뚫은 셈이다.
2004년 노무현 탄핵심판 당시에는 일반방청석 60자리를 놓고 1200명이 신청해 20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헌재는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지난 8일 오후 5시 25분부터 9일 오후 5시까지 헌법재판소 홈페이지(https://www.ccourt.go.kr)를 통해서 방청신청을 받았다.
24명은 온라인 추첨으로 선정했다.
당첨결과는 당첨된 사람에게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보낸다. 문자메시지를 받은 사람은 10일 헌법재판소 정문 안내실에서 오전 10시부터 방청권을 신분증과 교환받은 뒤, 오전 10시 20분부터 심판정에 들어갈 수 있다.
방청권이 없더라도 집이나 사무실에서 TV와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탄핵 심판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헌재 대심판정 좌석은 104석. 일반 시민에게 제공되는 24석을 제외하고 취재기자용으로는 44석이 배정됐다. 나머지는 양측의 법률 대리인단이 사용하게 된다.
한편 2004년 노무현 당시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때에는 1200명이 신청해 60명의 일반시민들이 대심판정에서 방청했다.
헌재 관계자는 “당시 대심판정에는 112석 중 60석을 일반인에게 배정했는데 약 1200명이 신청한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당시와 달리 지금은 장애인석을 넣어고 보조의자 등을 제외하면서 104석인 상태”라고 소개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