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 차관 “학령인구 감소 대비 대학 통폐합 적극 유도”

이영 차관 “학령인구 감소 대비 대학 통폐합 적극 유도”

입력 2017-03-09 16:58
수정 2017-03-09 17: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주기 대학 구조개혁평가 계획 브리핑

이영 교육부 차관은 9일 학령인구 급감에 대비해 대학 간 통폐합을 적극 유도하는 방향으로 2주기 대학 구조개혁평가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대학의 자율적인 혁신 노력을 유도해 구조개혁 평가를 하겠다”면서 이러한 기조는 정권이 바뀌어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이 차관과의 일문일답.

-- 1주기 평가와 비교해 핵심적으로 달라진 부분은.

▲ 대학의 자율적인 혁신 노력을 유도하는 측면이다. 1단계에서는 A∼E 등급을 한 번에 나누고 각각 정원 감축의 비율을 주는 형태로 했다.

2주기는 1, 2단계 평가로 나누고, 1단계에서는 어떤 의미에서는 자율적으로 했으면 좋겠다는 비율을 50% 정도 식별해 내서 평가의 부담을 완화해주려 노력했다.

통폐합 부분도 강조하려고 한다. 통폐합하는 경우 평가에서 아예 제외를 하고 스스로 발전 방안을 만들어서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향이다.

-- 대학의 자율 노력을 강조했는데, 이는 1주기 때에 비해서 평가가 느슨해지는 것으로도 볼수 있나.

▲ 현재 학령인구가 인구절벽에 직면하는 부분이 크다. 입학자원이 2020년에 전년대비 7%, 2021년에 9%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정원 감축의 규모 자체는 느슨하게 갈 수 없는 상황이다.

대학 재정지원 따로, 구조개혁 따로는 아니라고 본다. 둘 사이의 연계를 조금 더 강화하면서 자율개선 대학일지라도 학부 정원은 줄이는 대신 대학원 쪽으로 유도하는 부분도 생각하고 있다.

-- 5만명을 감축하려면 ‘한계대학’을 얼마나 걸러내야 하나.

▲ 자율개선 대학을 빼고 나머지 대학을 다 감축하게 하면 상당히 부담이 클 수 있다. 대학원 정원으로 옮겨가는 방향, 해외에 프랜차이즈 형태로 나가는 방향 등 여러 방법들이 모색돼야 한다.

-- 자율개선 대학과 XYZ등급을 받는 대학의 비율은.

▲ (서 대학정책관) 1주기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해봤을 때 각각 50% 정도 돼야 그 정도 감축분(5만명)이 나오지 않겠느냐고 말씀드린 것이다. 1주기 때는 고통분담을 해서 정원을 감축한 것이고, 평가 결과만으로 권고를 해서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는 않았다.

-- 수도권과 지방 대학 간 비율은 어떻게 맞출 것인가.

▲ (서 대학정책관) 1주기 때 지역 간 불균형 문제가 계속 지적됐다. 따라서 2주기 때에는 권역 간 비중 고려가 기본 원칙으로 들어갔다. 구체적인 비율은 추후 논의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

-- 정권이 바뀌기 전에 관련 법령 개정 등이 가능한지.

▲ 대학 스스로 변화해야 하는 상황 등은 정권이 바뀌어도 동일하다. 대학은 구조개혁에 상당히 민감해하고 반대하기도 하지만 사회적으로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기본 틀이 바뀔 것이라고 보진 않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