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세 이상 고용률 17.9%…5년째 OECD 국가 중 1위
우리나라의 만 75세 이상 고령층 고용률이 5년 연속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직장에서 은퇴를 하고도 생계를 위해 다시 생활전선에 뛰어드는 노인이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8일 OECD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한국의 75세 이상 고용률은 17.9%로, 비교 가능한 OECD 25개 회원국 중 1위였다. 한국의 수치는 2위인 멕시코(17.0%)보다 1% 포인트 가까이 높았다. 한국과 멕시코를 뺀 나머지 국가는 모두 한 자릿수였다. 일본(8.3%)과 포르투갈(6.6%), 뉴질랜드(6.1%)가 3~ 5위였다.
노년 고용률이 낮은 곳은 주로 유럽 국가들로 덴마크 0.0%, 프랑스 0.5%, 벨기에 1.2%, 독일 1.8%였다. OECD 평균은 4.8%로, 우리나라의 4분의1 수준이었다.
한국은 2011년 15.5%로 75세 이상 고용률 1위에 오른 이후 2012년(17.3%), 2013년(18.1%), 2014년(19.2%)을 거쳐 5년 연속 1위를 했다. 연령대를 낮춰 65세 이상을 기준으로 잡아도 한국의 고용률은 2015년 기준 30.6%로, OECD 회원국 중 아이슬란드(38.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OECD 평균은 13.8%다.
한국에서 노년층 고용률이 유독 높은 것은 연금 수입과 노인복지 지원만으로는 먹고살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생활고 탓에 어쩔 수 없이 일자리를 찾는 노인들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뜻이다. 이는 노인 빈곤율(중위소득의 50% 미만인 인구의 비율)이 2015년 기준 63.3%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과 맥을 같이한다.
윤민석 서울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한국의 노인들은 노후 준비가 부족하고 노인 빈곤율이 높아 65세 이후에도 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5-0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