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67주년을 앞두고 당시의 상황을 볼 수 있는 사진들이 곳곳에서 전시되고 있다. 주한미군 제2사단 사령부가 있는 경기 의정부시 캠프 레드 클라우드 내 전쟁박물관에 전시된 지게로 포탄을 나르는 한국인 노무단의 모습이 담긴 사진.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6/23/SSI_20170623173656_O2.jpg)
주한미군 제2사단 사령부가 있는 경기 의정부시 캠프 레드 클라우드 내 전쟁박물관에 전시된 지게로 포탄을 나르는 한국인 노무단의 모습이 담긴 사진.
연합뉴스
![6·25전쟁 67주년을 앞두고 당시의 상황을 볼 수 있는 사진들이 곳곳에서 전시되고 있다. 주한미군 제2사단 사령부가 있는 경기 의정부시 캠프 레드 클라우드 내 전쟁박물관에 전시된 지게로 포탄을 나르는 한국인 노무단의 모습이 담긴 사진.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6/23/SSI_20170623173656.jpg)
6·25전쟁 67주년을 앞두고 당시의 상황을 볼 수 있는 사진들이 곳곳에서 전시되고 있다.
주한미군 제2사단 사령부가 있는 경기 의정부시 캠프 레드 클라우드 내 전쟁박물관에 전시된 지게로 포탄을 나르는 한국인 노무단의 모습이 담긴 사진.
연합뉴스
주한미군 제2사단 사령부가 있는 경기 의정부시 캠프 레드 클라우드 내 전쟁박물관에 전시된 지게로 포탄을 나르는 한국인 노무단의 모습이 담긴 사진.
연합뉴스
![6·25전쟁 67주년을 앞두고 당시의 상황을 볼 수 있는 사진들이 곳곳에서 전시되고 있다. 경기 수원시와 시민들이 1953년 당시 미군이 찍은 사진 속의 수원화성 성곽 위 아이들을 찾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응답하라 1953 행궁동 프로젝트’의 단서가 된 사진.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6/23/SSI_20170623173641_O2.jpg)
경기 수원시와 시민들이 1953년 당시 미군이 찍은 사진 속의 수원화성 성곽 위 아이들을 찾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응답하라 1953 행궁동 프로젝트’의 단서가 된 사진.
연합뉴스
![6·25전쟁 67주년을 앞두고 당시의 상황을 볼 수 있는 사진들이 곳곳에서 전시되고 있다. 경기 수원시와 시민들이 1953년 당시 미군이 찍은 사진 속의 수원화성 성곽 위 아이들을 찾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응답하라 1953 행궁동 프로젝트’의 단서가 된 사진.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6/23/SSI_20170623173641.jpg)
6·25전쟁 67주년을 앞두고 당시의 상황을 볼 수 있는 사진들이 곳곳에서 전시되고 있다.
경기 수원시와 시민들이 1953년 당시 미군이 찍은 사진 속의 수원화성 성곽 위 아이들을 찾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응답하라 1953 행궁동 프로젝트’의 단서가 된 사진.
연합뉴스
경기 수원시와 시민들이 1953년 당시 미군이 찍은 사진 속의 수원화성 성곽 위 아이들을 찾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응답하라 1953 행궁동 프로젝트’의 단서가 된 사진.
연합뉴스
주한미군 제2사단 사령부가 있는 경기 의정부시 캠프 레드 클라우드 내 전쟁박물관에 전시된 지게로 포탄을 나르는 한국인 노무단의 모습이 담긴 사진. (위)
경기 수원시와 시민들이 1953년 당시 미군이 찍은 사진 속의 수원화성 성곽 위 아이들을 찾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응답하라 1953 행궁동 프로젝트’의 단서가 된 사진. (아래)
연합뉴스
2017-06-2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