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출생아 가장 많았던 수원의 비결은?

2015년 출생아 가장 많았던 수원의 비결은?

입력 2017-06-27 10:34
수정 2017-06-27 1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복지부 ‘2016년도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 사례집’ 발간

보건복지부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16년도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 사례집’을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복지부는 각 지자체가 실시하는 총 1천499개의 지원사업을 결혼·임신·출산·양육 등의 4개 분야, 7개 지원방식(현금·현물·바우처·서비스·교육·홍보·기타)으로 구분해 사례집에 수록했다.

지원분야별로는 임신 관련 사업이 516개(34.4%)로 가장 많고, 출산 478개(31.9%), 양육 480개(32.0%) 등 순이다. 반면에 결혼 관련 지원사업은 25개(1.7%)에 그쳐 미미했다.

지원방식별로는 현금(35.8%), 현물(19.3%), 서비스 제공(15.9%), 교육(15.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5년도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전남 해남군(2.46명)의 경우 출산 축하용품 제공, 신생아 작명, 땅끝 아빠 캠프, 출산 신생아 신문 게재 등의 지원 정책을 추진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5년 출생아 수가 가장 많은 경기 수원시(1만2천36명)는 다둥이 축제, 셋째 자녀 이상 유아 교육비, 출산지원금, 산모신생아 도우미 지원사업 등 다자녀우대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우수 지자체 사례를 발굴해 ‘임산부의 날(10월 10일)’에 포상하고, 지역사회에서 저출산 극복노력을 확산하는 계기로 활용할 계획이다.

2016년도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 사례집은 보건복지부(www.mohw.go.kr) 홈페이지(정보→연구/조사/발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