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구의 마지막 알짜부지인 방배동 ‘성뒤마을’이 지난 9월 공공주택지구로 지정 고시된 데 이어 2022년 친환경 명품주거단지로 탈바꿈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구계획 수립 절차에 착수한다.
서울 서초구는 최근 SH공사(서울주택도시공사) 주관으로 ‘서초 성뒤마을 공공주택지구’에 대한 마스터플랜(설계 전 계획) 현상공모에서 유명 건축가인 승효상 대표가 이끄는 이로재건축사사무소의 ‘성뒤마을의 시작, 예술·문화와 더불어 배우고 즐기는 공유마을’이 당선작으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당선작은 우면산 기존 물길을 단지 내부로 살리고, 남부순환도로 상 보행연결브릿지를 설치해 단절된 공간을 연계했다. 남부순환로변 업무·공공시설을 배치하고, 생산·교류 및 거주기능이 복합된 새로운 유형의 거주공간을 도입했다. 단지 진출입로 중심으로 건물 사이에 데크를 조성, 보행동선을 배치해 주민친화적 공간 및 커뮤니티 활성화를 고려했다. 설계자가 선정됨에 따라 성뒤마을은 40년 난개발 집단무허가촌에서 용적률 160~250%, 평균 7~12층 규모의 친환경 명품주거단지로 탈바꿈하기 위한 지구계획 수립에 본격 돌입한다.
성뒤마을 개발은 조은희 구청장의 작품이란 설명이다. 마을은 석재상, 판자집, 고물상 등 무허가 건축물 179개동이 난립해 주변 지역에서도 민원이 많았지만 시는 자연녹지 보존을 이유로 방치했다. 조 구청장은 2014년 말 당시 SH공사 사장이 취임하자 자리를 마련해 현장에 함께 가서 실상을 보여주고 개발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 결과 이듬해 5월 시의 공영개발 결정을 이끌어냈고, 지난 9월 공공주택 지구로 지정되면서 2022년까지 1200여 세대가 입주하는 계획을 완성시켰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서울 서초구는 최근 SH공사(서울주택도시공사) 주관으로 ‘서초 성뒤마을 공공주택지구’에 대한 마스터플랜(설계 전 계획) 현상공모에서 유명 건축가인 승효상 대표가 이끄는 이로재건축사사무소의 ‘성뒤마을의 시작, 예술·문화와 더불어 배우고 즐기는 공유마을’이 당선작으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당선작은 우면산 기존 물길을 단지 내부로 살리고, 남부순환도로 상 보행연결브릿지를 설치해 단절된 공간을 연계했다. 남부순환로변 업무·공공시설을 배치하고, 생산·교류 및 거주기능이 복합된 새로운 유형의 거주공간을 도입했다. 단지 진출입로 중심으로 건물 사이에 데크를 조성, 보행동선을 배치해 주민친화적 공간 및 커뮤니티 활성화를 고려했다. 설계자가 선정됨에 따라 성뒤마을은 40년 난개발 집단무허가촌에서 용적률 160~250%, 평균 7~12층 규모의 친환경 명품주거단지로 탈바꿈하기 위한 지구계획 수립에 본격 돌입한다.
성뒤마을 개발은 조은희 구청장의 작품이란 설명이다. 마을은 석재상, 판자집, 고물상 등 무허가 건축물 179개동이 난립해 주변 지역에서도 민원이 많았지만 시는 자연녹지 보존을 이유로 방치했다. 조 구청장은 2014년 말 당시 SH공사 사장이 취임하자 자리를 마련해 현장에 함께 가서 실상을 보여주고 개발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 결과 이듬해 5월 시의 공영개발 결정을 이끌어냈고, 지난 9월 공공주택 지구로 지정되면서 2022년까지 1200여 세대가 입주하는 계획을 완성시켰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