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사라지는 카드 포인트 ATM기로 현금 인출”…1만원 미만은?

금감원 “사라지는 카드 포인트 ATM기로 현금 인출”…1만원 미만은?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8-01-10 16:46
수정 2018-01-10 16: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땅히 쓸 데가 없어 쌓기만 하다 유효기간이 지나 사라지는 아까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적립 포인트를 현금자동입출금기(ATM)에서 현금으로 모두 찾을 수 있게 됐다.
이미지 확대
금감원 “카드포인트 ATM기에서 현금 인출”
금감원 “카드포인트 ATM기에서 현금 인출” 금융감독원이 10일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적립된 카드 포인트를 현금자동입출납기기(ATM)로 직접 인출할 수 있게 한다고 밝혔다.
경기경찰2청 제공
금융감독원과 여신금융협회는 10일 이런 내용을 핵심으로 한 여신전문금융회사(이하 여전사) 표준약관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가장 눈 여겨 볼 대목은 카드 포인트를 간편히 현금화하는 것이다.

금감원은 카드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포인트를 현금으로 전환하고, 이를 ATM에서 찾는 방식을 꼽았다. ATM에서 찾을 수 없는 1만 포인트 미만은 카드대금에서 제해주거나 카드대금 출금 계좌로 입금되는 방식 가운데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지난해 상품·서비스 가격의 20~30%만 포인트로 결제가능하도록 한 ‘포인트 사용 비율 제한’을 폐지한 데 이어 아예 포인트를 현금처럼 쓸 수 있어야 한다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금감원은 신한, 국민, 우리, 하나 등 은행계 카드는 비교적 현금화가 쉽지만 현대, 삼성, BC, 롯데 등 기업계 카드는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카드 포인트는 해마다 2조원 넘게 쌓이는 추세다. 2011년 2조 1935원에서 2016년 2조 6885원으로 22.6%(4950억원)이나 늘었다. 지난해 상반기도 1조 4256억원이다.

그러나 포인트가 적립된 지 5년을 넘기거나 탈회·해지 등으로 사라진 포인트도 2011년 1023억원에서 2016년 1390억원, 지난해 상반기 669억원으로 증가했다. 소멸된 포인트는 카드사의 이익으로 잡힌다.

김태경 금감원 상호여전감독국장은 “명실공히 포인트는 현금이 되는 것”이라며 각 카드사의 포인트 통합 문제에 대해 “가능한지 연구해보겠다”고 말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