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수도권 3개 지자체, 비상저감조치 이행실태 점검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행 기간에 수도권 지역에서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이 평소보다 평균 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올해 들어 두 번째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17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에서 서울시와 맑은하늘만들기 시민운동본부 관계자들이 미세먼지 저감대책 동참 캠페인을 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1/17/SSI_20180117111626_O2.jpg)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올해 들어 두 번째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17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에서 서울시와 맑은하늘만들기 시민운동본부 관계자들이 미세먼지 저감대책 동참 캠페인을 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1/17/SSI_20180117111626.jpg)
올해 들어 두 번째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17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에서 서울시와 맑은하늘만들기 시민운동본부 관계자들이 미세먼지 저감대책 동참 캠페인을 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하루 평균 부문별 배출량 감소는 차량 2부제 1.61t(공공 0.43t·민간 1.18t), 대기배출 사업장 0.34t(공공 0.217t·민간 0.18t), 건설공사장 0.29t(공공 0.87t·민간 0.206t) 등이었다.
이 가운데 차량 2부제에 따른 배출량 저감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민간부문에서도 차량2부제 시행에 일부 동참한 덕분이라고 합동점검팀은 전했다.
특히 지역적으로 국민 체감도가 큰 도로변 등의 오염지역의 농도 감소 효과는 일반 지역보다 1.5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시간상으로는 오전 8∼9시의 농도 감소 효과가 평시의 1.5배 이상으로 컸다.
차량 2부제는 점검 대상 기관의 93%(158곳 중 147곳), 사업장은 97%(34곳 중 33곳), 공사장은 90%(41곳 중 37곳)가 비상저감조치에 따른 준수 사항을 이행한 것으로 집계됐다.
환경부는 비상저감조치를 미흡하게 이행한 곳에 대해서는 개선할 것을 권고했다. 앞서 수도권 미세먼지 비상조치는 지난해 12월 30일에 이어 이달 15일, 17∼18일까지 총 4차례 시행됐다.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면 수도권 3개 시·도에 있는 행정·공공기관 소속 임직원 52만7천 명은 차량 2부제를 의무적으로 따라야 한다. 행정·공공기관이 운영하는 80개 대기배출 사업장은 운영을 단축하거나 조정해야 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